중국·인도·브라질…경제덩치만 커진 약골 3인방

신흥 3국의 빛과 그림자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신흥국 대표 주자인 중국·인도·브라질의 인구를 모두 더하면 세계 인구의 40%에 해당한다. 이들 국가는 인구만 많은 게 아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일군 이들 신흥 3개국은 그 동안 부진의 늪에 빠진 선진국 대신 세계 경제의 구원투수 역할을 담당해왔다.독일에서 발간되는 시사주간지 슈피겔은 글로벌 무대에서 이들 신흥 3국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며 경제발전에 걸맞는 정치·사회 개혁이 이들 국가의 최대 과제가 됐다고 최근 보도했다.유엔의 '2013년 인간계발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도·브라질의 국내총생산(GDP) 합계가 사상 처음 독일·영국·프랑스·캐나다·이탈리아 등 미국·일본을 제외한 주요 7개국(G7) GDP와 맞먹는 수준이 됐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오는 2050년 이들 3개국의 GDP가 세계 GDP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국제사회에서 신흥 3국의 정치 파워도 강해지고 있다.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으로 불리는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미국에 제동을 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국가다.그렇다고 승승장구하고 있는 신흥 3국의 미래가 밝기만 한 것은 아니다. 올해 이들 국가의 성장률 전망치는 중국이 7.5%, 인도·브라질이 각각 5%, 2.5%로 2007년 전성기의 반토막이다. 경기둔화가 국제 변수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든 내부 문제에 의한 추세적 변화든 이들 나라가 전과 달리 고성장을 이어가지 못하리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경기둔화만 문제가 아니다. 눈부신 경제발전에도 이들 국가의 정치제도는 수백년 동안 별로 변하지 않았다. 경직된 정치체제와 변화를 거부하는 지도부 탓에 부정부패, 정경유착, 열악한 인프라, 양극화 같은 다양한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 이들 국가의 경제 규모는 세계 10위권에 포함될 정도로 크다. 그러나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부패지수에서 브라질이 69위, 중국이 80위, 인도가 94위에 오를 정도로 부패는 심각하다.전문가들은 신흥 3국이 빠른 경제성장 뒤로 미뤄놓은 부(富)의 재분배, 사회정의, 정치개혁 같은 과제를 적극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제발전과 함께 폭증한 중산층은 이제 통치자 말에 순응하는 '착한 백성'이 아니다.인도 국민들은 열악한 인프라, 대기오염, 법률 시스템 미비에 불만이 높다. 중국인들은 안전한 먹을거리와 정치권 부정부패 척결이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열악한 교통 인프라와 교육기회 부족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브라질에서는 지난 두 달 동안 대규모 거리 시위가 벌어졌다.인도 태생인 아마티아 센 하버드 대학 교수는 1998년 아시아인 최초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삶의 질에 대해 측정하는 유엔 '인간개발지수'를 만드는 데 기여한 그는 "화려한 경제지표가 국민 행복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라며 "경제발전에 걸맞은 정치개혁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