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개발 휴대용음향카메라, 3대 디자인상

배석형 카이스트 산업다자인학과 교수,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의 제품디자인부문 수상작으로 뽑혀

배석형 카이스트 교수가 디자인 한 세계 첫 휴대용 음향카메라 모습.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국내서 개발한 세계 최초 휴대용 음양카메라가 세계가 인정하는 디자인상을 받았다. 4일 한국과학기술원(총장 강성모 이하 카이스트)에 따르면 이 학교 배석형 산업디자인학과 교수가 에스엠인스트루먼트(대표 김영기), 현대자동차(대표 정몽구)와 공동개발한 세계 첫 ‘휴대용 음향카메라’가 세계 3대 디자인공모전 중 하나인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의 제품디자인부문 수상작으로 뽑혔다.자동차운전자라면 한번쯤 원인을 알 수 없는 소음으로 골머리를 앓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자동차를 비롯한 공업제품에서 비정상적 음이 생기면 설계오류나 부품마모, 파손 등 문제들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소음이 생기는 위치를 사람의 청각으로 정확하게 찾아내긴 쉽잖다.이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장치가 음향카메라다. 열감지카메라가 온도분포를 색으로 나타내듯 음향카메라는 마이크로폰 배열을 이용, 측정한 소리분포를 색으로 나타내 소음원의 위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기존의 음향카메라는 크고 무거우며 조립·설치법이 복잡하고 삼각대 위에 고정된 상태로만 쓸 수 있어 설치가 어려운 좁은 공간이나 자동차의 바닥면 등은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개발된 휴대용음향카메라는 가로 39cm × 세로 38cm, 무게 1.78kg으로 크기와 무게가 기존 제품보다 각각 40%, 30% 크기다. 사용자가 자유롭게 들고 움직이면서 측정대상을 탐색할 수 있다. 다섯 가닥의 나선형으로 이뤄진 30개의 마이크로폰과 고해상도카메라는 공업제품의 개발·수리과정에서 중요한 350Hz~12kHz 주파수 대역의 소음분포를 이미지와 합성,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며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개발된 제품은 기존 제품과는 달리 일체형으로 측정에 앞서 마이크로폰을 조립하는 불편을 없앴다. 가운데 손잡이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돼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음향카메라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받침대 역할을 하기도 하는 양 옆의 손잡이는 두 손을 이용, 다양한 방식으로 음향카메라를 잡을 수 있게 설계돼 좁은 공간이나 바닥면 등도 사용자가 무리한 자세를 하지 않고도 측정할 수 있다.이강덕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NVH 연구위원은 “지난 2월부터 휴대용 음향카메라를 신차개발단계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며 “한 손으로 들 수 있을 만큼 작고 가벼워 기존의 음향카메라로는 비추기 어려웠던 부분도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고 혼자서도 쓸 수 있어 작업과정이 크게 향상됐다”고 말했다.배석형 카이스트 교수는 국제디자인공모전 수상과 관련, “첨단기술에 디자인요소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점을 인정받았다”며 “과학기술에 대한 수준 높은 이해가 가능한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의 역량을 보여준 사례”라고 말했다.이영철 기자 panpanyz@<ⓒ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영철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