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Beyond LTE' 시대에 최적화된 사업자'·

LTE로도 무제한트래픽 폭증시대 대비 역부족..와이브로·와이파이 보조망 활용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KT가 지난 7일 개최한 3ㆍ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론칭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다졌다. 아울러 '비욘드(Beyond) 무제한 트래픽 폭증 시대'에 기존의 와이브로, 와이파이망과 상호 연계가 가능한 최적화된 통신 사업자라는 입장도 함께 밝혔다. 김연학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현재 2G 서비스 가입자는 18만명 수준으로 이달 내로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종료 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미 LTE 시설 투자가 진행되고 있어 정부 공식 승인이 나면 바로 서비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G 서비스 종료로 인한 비용은 올 하반기 총 1100억원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3분기에 300억원, 4분기에 800억원이다. LTE 단말 라인업은 연내 스마트폰 3종과 태블릿PC 1종을 출시할 예정으로, 내년에는 LTE폰 가입자 수를 고려해 10종 이상의 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KT가 '비욘드 LTE 시대'에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독보적 사업자라는 발언도 이어졌다. 김 CFO는 "경쟁사가 앞다퉈 LTE를 구축하고 있지만 앞으로 늘어날 데이터 트래픽을 감당하기에는 LTE만으로는 부족하다"며 "KT는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를 LTE 보조망으로 활용할 수 있어 '비욘드 무제한트래픽 폭증 시대'에 준비된 사업자"라고 설명했다. LTE 시설 투자 금액 확대로 올해 전체 설비투자(CAPEX) 금액도 당초 가이던스 대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CFO는 "연초 CAPEX를 3조2000억원으로 예상했지만 LTE를 조금 앞당겨 추진한 관계로 연말까지 1000~2000억원 정도 더 늘어날 것"이라며 "LTE 커버리지는 올해 수도권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추진 일정도 조금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폰4S의 LTE폰 대안론도 제기됐다. 김 CFO는 "구체적인 예약가입 현황을 밝힐수는 없지만 기존 아이폰3GS나 아이폰4 예약가입때보다 상황이 좋다"며 "아울러 LTE는 커버리지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아이폰4S가 상당 기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LTE폰 도입이 늦어지더라도 아이폰4S가 이를 지탱해 줄 것이라는 뉘앙스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 콜에서 제기된 '제 4 이통사 출현'과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활성화'등 경쟁 구도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평가를 내놓았다. 김 CFO는 "기존 이통사가 수십년간 쌓아온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역량과 대비했을 때 제 4 이통사가 단기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반면 MVNO는 타 산업과의 컨버전스 차원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틈새시장 협력으로 시장 규모를 키운다는 의미에서 경쟁자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임선태 기자 neojwalke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