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채정선 기자]>>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사가 1984년 창립한 베이직 캐주얼 브랜드, 유니클로 >> 한국 시장에서 매년 60% 이상의 매출 신장률>> 11월, 초대형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 유니클로 2011 FW, 질 샌더 디자인 '+J'
오는 11월, 명동에 유니클로(UNIQLO)의 초대형 플래그십 스토어가 오픈한다. 유니클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현재 뉴욕, 파리, 런던, 상하이, 오사카 등 전 세계 패션 도시를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국내 플래그십 스토어는 일본과 중국을 제치고 최대 규모가 될 것이다. 유니클로 마케팅팀 김창남 팀장은 “최다 수준의 상품과 다양한 서비스, 획기적인 크리에이티브를 경험할 수 있는 매장이 될 것” 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니클로는 국내에 진출한 첫 해에 3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그리고 5년 만에 열 배에 가까운 매출 신장을 이루었다. 매년 60% 이상의 매출 신장률을 보인 셈이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유니클로는 올해 20개 이상의 매장 오픈(도합 100개 매장 운영), 2012년부터는 광역시와 지방대도시를 중심으로 매장이 오픈하게 될 것이다. 2011년 매출액 목표는 4000억 원, 이미 8월 회계연도 결산 기준으로는 350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제 한국은 아시아 최대 유니클로 플래그십 스토어를 보유하고, 전국 어딜 가나 유니클로를 만날 수 있는 나라가 된 것이다. '성공'으로 집약되는 글로벌 브랜드 유니클로전 세계적으로 패스트 패션이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포브스>의 집계가 눈에 띈다. 2011년 글로벌 억만장자에 패스트패션(최신 트렌드를 재빨리 포착해 패스트푸드처럼 빠르게 생산 공급하는 의류를 의미) 대표기업인 인디텍스(스페인), H&M(스웨덴), 패스트리테일링(일본) 회장이 자국 최고 갑부로 선정된 것이다. 그중 유니클로가 속한 기업 패스트리테일링 야나이 다다시는 글로벌 순위 122위에 꼽혔다.
▲ 국가별 10대 패스트패션 브랜드 경영 성과(2006~2010년) (출처:삼성경제연구소)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의류에서 소재는 전자제품에서의 핵심 부품과 같다.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를 방증하듯 유니클로는 쉴 새 없이 새로운 제품 라인을 내놓았다. 그중 하나가 '히트텍'이다. 히트텍은 유니클로와 섬유업체 '도레이(Toray)'가 공동 개발한 초경량 신소재로 인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열에너지로 변환해 발열시키는 원리로 만들었다. 2003년에 발매된 이래 전 세계 판매량 1억장을 넘어선 베스트셀러 라인이다. 국내에서 2008년 18만장, 2009년 75만장이 판매되었고, 2010년 겨울, 지속적인 한파와 폭설의 영향으로 100만장 가량을 판매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 국가별 패스트패션 시장 점유율과 성장률(2008~2010년, 단위 %) (출처:삼성경제연구소)
2011년에는 역시 도레이사와 함께 자외선이 90% 차단되는 기능성 라인 'UV-CUT' 컬렉션을 선보였다. 또한 여성용 이너웨어의 소재에 신속한 땀 흡수와 배출이 가능한 '사라화인' 등을 내놓았고, 남성 셔츠 와 브리프 등에 땀 흡수율이 좋은 '실키 드라이' 라인 등을 선보였다. 이러한 새로운 제품 라인이 등장할 때마다, 매출 상승세는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유니클로가 한국시장을 공략하는 법유니클로는 한국 시장에 글로벌 광고 모델이 아닌 국내 모델을 기용해 광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글로벌 광고를 그대로 사용하는 타 브랜드와는 다른 양상이다. 국내 유니클로 모델에는 배우 이나영이 활동 중이다. 최근에는 ‘Made for All’을 주제로 이나영, 이적, 류승완 등 분야별 대표 주자 6인을 선정하여 광고 캠페인을 진행 중에 있다.
▲ 유니클로 피플 캠페인
또한 유니클로는 한국 시장이 온라인이 강세라는 것에 주목했다. 타 국가에 비해 연매출 50억 원(2010 년 기준)을 달성할 정도로 활성화된 온라인 스토어를 2012년에는 오프라인 매장까지 포함해 매출 1위의 매장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최근에는 온라인 스토어를 리뉴얼해 온라인 제품 구입이 한층 수월하도록 했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브랜드로 성장하다 전 세계 패스트 패션은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에 기반한 H&M의 23.3% 영업 이익률 이란 건 당시 애플 21.7%보다도 앞서는 기업 성과를 보인 바 있다. 이에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인 유니클로는 다양한 제품 라인을 빠르게 보강 확충하는 것은 물론 독보적인 유연한 시장 대응 능력을 보이고 있다. 한 예로, 2006년에 미국 뉴욕에 진출할 때는 ‘일본에서 갓 들어온 브랜드’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팝업 스토어를 운영한 것도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수거한 옷의 섬유를 재활용하는 리사이클 캠페인 역시 기업 이미지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유니클로 리사이클 캠페인
"성공은 성공이라고 부르는 순간부터 진부해진다. 눈앞의 신기루에 속아 과거의 작은 성과에 집착하는 한 진정한 성공을 이룰 수 없다." 야나이 다다시 회장의 말이다. 단시간에 공룡처럼 커나가는 유니클로의 남은 하반기 행보가 주목된다. 채정선 기자 est@<ⓒ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스타일부 채정선 기자 est@ⓒ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