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80억弗 발전소ㆍ석유화학단지 계약(종합)

[아스타나(카자흐스탄)=조영주 기자] 우리나라가 카자흐스탄에서 석탄화력발전소(40억달러)와 석유화학단지(40억달러) 등 총 80억달러 규모의 플랜트 사업권를 따냈다.카자흐스탄을 방문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발하쉬 석탄화력 발전소, 잠빌 석유광구 및 아티라우 석유화학사업단지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하기로 합의했다.발하쉬 석탄화력발전소는 카자흐스탄 알마티로부터 북서쪽으로 370㎞ 떨어진 발하쉬 호수 남서부 연안에 1320MW급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해 운영하는 사업으로 한국전력(35%), 삼성물산(35%)이 컨소시움에 참여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국영전력회사인 삼룩에너지(25%)와 카작무스(5%)가 참여한다. 이 대통령의 방문으로 이번에는 카자흐스탄의 관련법이 개정되더라도 본계약의 효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부간 협정(IGA)를 체결했다. 아티라우 석유화학단지 건설 사업도 이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주주간 계약을 통한 지분정리와 금융협력 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LG화학이 50%의 지분을 확보한 아티라우 석유화학단지 사업은 카스피해 연안의 뎅기즈 유전에서 생산된 에탄가스를 분해해 폴리에틸렌(연산 80만톤)을 생산하는 석유화학플랜트를 건설, 운영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발하쉬 석탄화력발전소와 아티라우 석유화학단지 건설 등 80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1992년 양국 수교 이후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다.이에 따라 그동안 문제가 됐던 경영권을 LG화학이 확실하게 확보하는 한편 중국이 잠식하고 있는 카스피 연안 석유화학플랜트에 맞설 수 있게 됐다.LG화학과 카자흐스탄 석유화학(KPI)는 이날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 LG화학 등은 KPI의 모회사인 UCC와 금융협력 MOU를 맺었다.아울러 대덕연구단지는 기술협력센터 설립ㆍ운영 협약서를, 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생명과학연구원 등이 인적ㆍ정보 교류 등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밖에 코오롱이 2억5000만달러 규모의 CNG충전소 100기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코오롱은 1차적으로 알마티 시내에 CNG충전소 5기를 건립해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2015년까지 충전소를 100개로 대폭 늘릴 계획이다.이 관계자는 "이 대통령과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은 2008년 이후 거의 매년 정상회담을 가지는 등 각별한 우호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양국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물론 정상간 친분과 신뢰를 쌓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 앞서 수행경제인과 조찬간담회를 갖고 양국간 경제협력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는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신 삼성물산 사장, 강영원 한국가스공사 사장, 양승석 현대차 사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 등이 참석했다.이 대통령은 나자르바예프 대통령과의 공식오찬 등의 일정을 소화한 후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조영주 기자 yjch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