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 슬로바키아 등 이어 30개 회원국 중 경제성장률 3위 기록
우리나라가 오는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경제성장률이 평균 4.9%대를 유지하며 고도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반면, 2017년 한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장기 금리가 최고조에 달해 서민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부정적 예측도 함께 나왔다.
2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중장기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011년~2017년에 평균 4.9%를 기록해 룩셈부르크(5.5%), 슬로바키아(5.3%)에 이어 30개 회원국 중 3위에 오를 것을 전망했다.
경제위기가 극복된 이후라는 전재가 있지만 우리 정부가 잡고 있는 현 잠재성장률 4.0%대를 뛰어넘는 높은 수준이다.
실업률도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예측도 나왔다. 우리나라는 2010년 3.9%에서 2017년에는 3.5%까지 떨어지면서 멕시코(3.2%)에 이어 두 번째로 실업률이 낮은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올해까지 우리 경제가 경기침체로 시련을 겪겠지만 내년부터 본격적인 회복에 가속도를 붙여 2017년까지 최고의 성장세를 구가할 것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경고의 메시지도 함께 붙였다. OECD는 우리경제가 중장기적으로 물가 상승과 고금리가 적지 않은 장애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OECD는 우리나라가 2010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로 OECD 회원국 가운데 5번째로 높을 것으로 봤다. 또한 2017년에 이르면 3.0%로 멕시코(3.2%)에 이어 룩셈부르크와 함께 물가 상승률이 최고로 높은 나라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담보대출 등을 의미하는 장기 금리 또한 2010년 5.4%로 회원국 중 6번째로 높았으나 2017년에는 7.0%로 아이슬란드와 함께 가장 금리가 높은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스위스(3.1%), 일본(3.3%) 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금리로 우리경제 더 나아가 서민생활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재정부 관계자는 "OECD의 이 같은 평가는 우리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어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라고 평했다. 하지만 높은 경제성장률에 따른 물가상승과 금리부담 압력에 선제적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규성 기자 bobo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규성 기자 bobo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