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 우려감을 표시하고 있지만 사전대처에 소극적이며 실제 미사일이 발사됐을 경우에도 북한을 제재하자는 적극적인 입장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베이징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6자회담 재개에 영향을 줄 것이지만 중국은 북한과 나머지 5개 국가간 냉각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원치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행위가 다른 나라의 강경한 입장과 달리 유엔 안보리 위반이라는 입장을 나타내지 않고 있으며 현재로서는 북한의 움직임을 찬성하지 않고 만류하려는 입장만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편 위성락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은 24일 베이징에 도착해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한국과 중국이 전략적인 협력 기반 아래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교환했다"고 밝혔다.
위 본부장은 이날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베이징 특파원들과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한ㆍ중 두 나라는 내달 4~8일중으로 예정된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한반도 긴장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데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위 본부장은 "이번 만남을 통해 중국의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며 "6자회담 재개에 대한 중국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양국이 적절히 대처해 6자회담 재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데 중지를 모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이번 만남에서 한ㆍ중간 많은 공감대가 있었지만 향후 대책과 관련해 좀더 조율할 부분이 필요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번 한ㆍ중 6자회담 수석대표간 만남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의 사전 대처와 사후 대응 방안에 대해 골고루 다뤘지만 무게중심은 발사후 대책 마련에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미사일이 발사되고 난후 6자회담이 언제 열릴 것인지, 미사일 문제가 6자회담에서 다뤄질지 여부 등은 이번 양국 수석대표들간 만남에서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한 소식통은 "재개될 6자 회담에서 한국은 북한의 미사일 문제를 어떻게든 다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며 시기와 장소가 문제일뿐 누군가에 의해 문제제기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일본도 비슷한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