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만 봐도 다 알 수 있다!

식품업계, 9월 완전표시제 앞두고 분주

<P>식품업계가 다음 달 8일부터 시행되는 식품 '완전표시제'를 앞두고 제품 포장 디자인을 바꾸고 이를 소비자에게 알리느라 분주하다.</P><P>특히, 관련 법규정은 제품의 원재료와 첨가물에 대해서 공개할 것을 요구하는 수준이지만, 일부 업체들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같은 영양정보, 식품 한 개를 섭취했을 때의 열량, 알레르기 유발 성분 유무 등을 상세히 표기하는 등 자발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내놓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P><P>◆ 식품 포장지 전면 교체 =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풀무원과 CJ, 대상 등 대부분의 식품업체들은 이미 상반기부터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겉 포장을 바꿔 성분을 모두 밝히고 있다.</P><P>0.01% 수준으로 아주 소량 함유된 첨가물까지 게재하다 보니 기존에는 포장 뒷면 한쪽 구석에 적혀 있던 성분명도 눈에 띄기 쉽게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P><P>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품 포장 디자인이 밀려나기도 한다.</P><P>한 업체 관계자는 "표시할 성분명 갯수가 많아진데다 완전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다는 별도 문구까지 만들어 넣다보니 상대적으로 포장 디자인이 부각되지 못하고 복잡하다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P><P>지난 5월부터 완전표시제를 시행해 온 풀무원은 아예 포장지 앞면 하단에 1일 권장영앙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을 색색깔로 표기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진열대에 놓인 제품을 보고 어떤 영양소가 얼마큼 들었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P><P>◆ 라면 한 개에 성분명 20여가지 = 재료와 첨가물의 성분이 국물 맛을 결정한다는 라면 업계도 90% 이상 준비를 마쳤다.</P><P>농심 관계자는 "라면 스프에 들어 있는 성분들을 일일이 나열해 보니 평균 20~30가지는 된다"며 "가뜩이나 이름마저 길어 전문가가 아니고서야 각 성분이 어떤 맛을 내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일반 소비자들이 이해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P><P>◆ 소비자 알 권리가 때론 부담 = 식품에 들어 있는 성분을 모두 공개한다는 것이 관련업체들로서는 개운치 않은 속내도 있다.</P><P>인체 무ㆍ유해 여부를 떠나 소비자들이 식품 성분에 대해 관심을 보일 수록 긴장할 수 밖에 없다는 게 업체들의 설명이다.</P><P>자칫 제조사로서는 불리한 첨가물이 공개될 수도 있고, 또 각 식품마다 어떤 성분이 얼마만큼 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분석비용도 모두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P><P>한 업계 관계자는 "제품에 따라서는 원료 구성 노하우가 성패를 좌우하기도 하는데 이것이 노출된다는 건 솔직히 반갑지 않다"고 털어 놨다.</P><P>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아무리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한다고 하지만 일부 소비자단체 등에서 문제를 제기할 때 구설수에 휘말리지는 않을지 벌써부터 고민"이라며 "자발적으로 지방성분이나 나트륨 함량을 재조정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P><P>◆ 소비자들은 아직 어색 = 유산균 음료나 주류에도 완전표시제가 도입돼 눈길을 끌고 있다.</P><P>빙그레의 '오색오감', 디아지오코리아의 '싱글톤' 위스키 등이 그것이다. 특히, 유제품의 경우 이번에 시행되는 식품위생법이 아닌 내년 초 효력을 발휘하는 축산물가공처리법에 근거하는 만큼 시간적 여유가 있지만 미리 준비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려 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P><P>풀무원은 완전표시제 시행 내용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홈페이지에 별도 코너를 만들어 안내하고 있고, 퀴즈 이벤트도 열어 관심을 끌고 있다.</P><P>또 일부 업체들은 대형마트나 백화점 판매사원들이 직접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완전표시제에 대해 홍보할 수 있도록 별도 교육을 마친 상태다.</P><P>하지만 소비자들의 대답은 "아직 잘 모르겠다"는 것. 주부 강숙희 씨(서울 독산동, 40세)는 "원재료나 성분명이 이것저것 많이 써 있으니 그냥 믿고 사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일일이 확인해 본 적은 없다"고 말했다. /조인경기자 ikjo@</P>

증권부 조인경 기자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