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광산구 “교육 여건 조성 필수 기반”
광주교육청 “학생 수 급감, 설립 어려워”
광주 광산구 신가동 재개발구역 내 중학교 신설을 두고 광주시교육청과 정비사업조합, 지역 자치단체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조합과 광산구는 교육여건 개선과 지역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중학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시교육청은 학생 수 급감과 사업 지연을 이유로 신설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2일 광주시교육청과 광산구 등에 따르면 신가동 재개발은 노후 주택이 밀집한 해당 일대에 약 5,000가구 규모의 공동주택단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정비사업이다. 2014년 조합 설립 인가를 받은 이후, 2016년에는 시교육청과 협의를 통해 기존 신가초등학교를 재배치하고, 중학교 1곳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조합은 해당 교육시설을 무상 공급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하지만 사업 준공이 2020년에서 2029년으로 늦춰지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2020년 동일 학군 내 25학급 규모 중학교가 이미 개교한 데다, 해당 학군의 중학교 입학 예정 학생 수가 2026년 2,351명에서 10년 뒤 708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교육청은 중학교 신설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최근 조합과 광산구에 '신가2중학교(가칭)' 설립 계획을 취소하겠다는 공문을 발송했다.
구는 이에 대해 최근 입장문을 내고 "개교 시점의 학령인구만을 근거로 학교 신설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며 시교육청의 방침에 유감을 표했다. 구는 "이번 학교 설립은 단순한 교육시설 건립이 아니라 마을과 학교를 잇는 상생의 거점 공간"이라며 "시교육청은 진정성 있는 논의의 장을 다시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민과 소통하며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입장도 함께 밝혔다.
같은 날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주민공청회에서도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조합과 주민들은 지역 내 교육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고, 시교육청은 "도보 20분 거리 내 중학교 3곳이 존재하고, 현재도 30~100실의 중학교 여유 교실이 있다"며 분산 배치로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지금 뜨는 뉴스
시교육청 관계자는 "원하는 곳에 학교를 다 지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며 "개발사업 지연, 주민 반대, 학생 수 감소 등 복합적 이유로 중학교 신설은 어렵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