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위험대응훈련' 정례화키로
국방부와 우주항공청은 11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미래국방과학기술 정책협의회' 산하 '우주 분과 실무협의회'를 첫 개최 했다고 밝혔다. 우주 분과 실무협의회는 지난해 국방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체결한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민·관·군 상생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됐다.
양 기관은 이번 실무협의회를 통해 민·군 간 소통의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 방향을 설정하고 양 기관의 우주 정책 방향과 주요 현안을 공유하는 한편, 향후 민·관·군 공동 협력이 필요한 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우주개발에는 막대한 예산과 장기적 기술 투자가 요구되는 만큼 민·관·군 연구개발 역량의 결집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국가 차원의 투자가 요구되는 대형 우주개발사업을 공동 추진 과제로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또 양 기관은 세계 각국이 우주개발을 가속화 함에 따라 인공 우주물체 증가로 인한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관·군이 함께 참여하는 '우주위험대응훈련'을 매년 정례화하기로 했다.
곽태신 국방부 방위정책관은 "국방 우주력 강화를 위해 민·관·군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우주항공청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국방 우주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나아가 국가 우주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협력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권현준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정책국장은 "우주는 국방·안보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주도권 경쟁이 벌어지는 격전지가 되어가고 있다"면서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우주산업 생태계를 확대함으로써 대한민국이 '글로벌 우주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