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서 IATA 총회 마치고 블룸버그 인터뷰
"美 관세, 韓 경제 영향…부품값 인상 우려"
"국제 정세 안정 시 러시아 노선 통과 희망"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대한항공 대표이사)은 새 정부에서 관세 문제 해결과 항공 시장 성장을 기대했다.
조 회장은 지난 2일(현지시간) 제81회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연차총회 참석차 방문한 인도 델리에서 블룸버그와 인터뷰를 통해 "새 정부의 우선 과제는 관세 문제 해결이 될 것이며, 예측 가능한 사업 환경이 조성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5~6개월 동안 리더십 부재와 세계 경제 문제가 맞물려 혼란이 있었다"며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갖춘 만큼 통상 협정 체결이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대한항공은 보잉(미국)과 에어버스(유럽)로부터 항공기를 구매하는 동시에 이들 업체에 항공기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조 회장은 "역사적으로 항공업은 관세 적용의 대상이 아니었고, 항공기 구매가는 사전 계약을 통해 확정했다"면서도 "향후 예비 부품 등의 가격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다.
무역 전쟁이 항공 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미·중 무역 갈등 여파로 중국발 미국행 화물은 수요 감소세가 꽤 가파르지만, 여객은 프리미엄 수요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무역 협상 결과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한국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한국이 수출국이어서 정부 차원에서는 원화 약세를 선호하겠지만, 항공사 경영 측면에서는 원화 강세를 선호한다"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문제가 해결되고 미국 주도로 러시아 제재가 풀려 러시아 영공을 통과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조 회장은 또 신규 항공기 도입과 노선 확장 계획에 대해 "노선 확장 측면과 아울러 노후 기재를 대체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신 기재를 도입할 것"이라며 "미국 외 잠재력을 가진 다양한 신규 노선 진출을 모색 중이나, 미주 노선 공급을 줄이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조 회장은 이번 연차총회에서 '항공업계의 유엔총회'로 불리는 IATA의 최고 정책 심의·의결 기구인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3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됐다. 앞서 2019년 처음 임기 3년의 집행위 위원을 맡은 뒤 2022년에 한 차례 연임했다. 이번이 두 번째 연임이다.
지금 뜨는 뉴스
IATA 집행위는 전 세계 항공사의 최고경영자(CEO) 중 전문지식과 경륜을 바탕으로 선출된다. IATA의 활동 방향을 설정하고 산하 기관의 활동을 감독하며 사무총장 선임, 연간 예산, 회원사 자격 등을 심사하고 승인한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