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는 의과대학 연구진이 통풍의 근본 원인인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동시에 해결하는 새로운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전남대 의과대학 박인규 교수 연구팀은 전남대병원 정형외과 선종근 교수, 김형근 박사 연구팀과 함께 통풍성 관절염(Gouty Arthritis)의 근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는 나노효소 기반 치료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세륨 산화물(CeO₂)이라는 나노입자에 알파 리포산(α-Lipoic Acid)이라는 항염 물질을 결합한 '이중 기능 나노효소'다. 이 나노입자는 통풍의 주요 원인인 활성산소(ROS)와 염증 경로를 동시에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 나노입자는 속이 빈 구조로 돼 있어 염증이 심한 부위에서만 정확하게 약물을 방출하도록 설계됐다. 덕분에 불필요한 부작용은 줄이고, 필요한 곳에만 약효를 전달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 성분보다 염증 유발 물질(사이토카인)을 더 많이 억제했고, 염증을 일으키는 면역세포(대식세포)의 기능까지 조절해 염증 자체를 뿌리부터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통풍을 유도한 실험쥐에서도 관절 부기와 염증, 산화 스트레스가 많이 감소했으며, 영상 장비를 통해 약물이 염증 부위에 정확히 도달한 것도 확인됐다.
지금 뜨는 뉴스
박인규 교수는 "이 기술은 통풍뿐만 아니라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계 염증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도 적용 가능성이 크다"며 "통증 없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과의 결합도 연구 중이며, 교원 창업기업 ㈜디알큐어를 통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