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20만t 넘는 수의계약 신청
'쌀 수입' 거론되나…자민당 내 온도차
일본 정부가 쌀값을 잡기 위해 수의계약 형태로 이른바 '반값 비축미'를 방출하는 가운데 소매업자 주문이 폭주하며 접수가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28일 요미우리신문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은 전날 밤 정부 비축미 수의계약과 관련해 약 70개 사업자가 총 20만t 이상을 사겠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지난 26일 일본 정부는 2022년산 비축미 20만t, 2021년산 비축미 10만t을 기존 입찰 방식 판매가의 절반 가격에 수의계약으로 팔겠다고 발표했다. 주문이 밀려들며 하루 만에 접수를 중지한 것이다.
수의계약을 신청한 업체는 대형 마트인 이온과 이토요카도, 편의점 업체 패밀리마트,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라쿠텐 그룹 등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비축미 구매를 신청한 업자들은 대부분 2022년산 쌀 구매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29일부터 일부 사업자를 대상으로 비축미 인도를 시작해 내달 초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농림수산성은 이르면 30일 중소 소매업자를 대상으로 2021년산 비축미 수의계약 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2021년산 비축미의 경우 세금을 제외한 소매가 목표를 5㎏당 1800엔(약 1만7131원)으로 정했다. 수요가 적은 점을 고려해 2022년산 비축미 가격(2000엔)보다 낮췄다.
'쌀값 잡기' 총력전을 벌이는 고이즈미 농림상은 이번에 수의계약을 추진하는 비축미 30만t을 제외한 나머지 비축미 30만t을 모두 방출할 수 있다는 방침이다.
요미우리는 반값 비축미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현미 상태인 비축미를 도정하는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비축미를 장기 보존에 적합한 현미로 보관하고 있다. 많은 소매점이 정미 작업을 자체적으로 할 수 없어서 전문 업체에 의뢰해야 하는데, 이들 업체는 앞서 풀린 비축미 도정을 하는 상황이라 반값 비축미 정미에 속도가 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 쌀값은 작년 여름부터 상승세다. 지난 12~18일 슈퍼에서 판매된 쌀 5㎏ 평균 가격은 4285엔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치솟는 쌀값에 수입 카드도 거론되고 있으나 집권 자민당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이 사실상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마이니치신문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고이즈미 농림상은 쌀 수입을 비교적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나, 모리야마 간사장 등 이른바 '농림수산족'이 쌀을 성역으로 여겨 저항하는 등 당내에 온도 차가 있다며 여름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쌀 수입량을 늘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