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트닉 상무부 장관 ABC 인터뷰
"영구 면제 안 돼…협상 대상 아냐"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스마트폰, PC 등 전자제품에 약 한 달 뒤 별도의 반도체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가 일시적 조치에 그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ABC 방송 '디스 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제품이 상호관세에서는 면제되지만 아마도 한두 달 안에 적용될 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된다"며 "관세가 곧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구적으로 면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각국이 협상을 통해 없앨 수 있는 게 아니란 점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여러 차례 예고한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공식 발표하면, 반도체가 탑재되는 전자제품에 다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이어 반도체·의약품 등에도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일시적으로 면제된 상호관세가 다른 형태로 다시 부과되느냐는 질문에 "맞다"며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스마트폰과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지했다. 9일 상호관세 전면 발효 및 유예 조치가 있은 지 이틀 만이다.
러트닉 장관은 품목별 관세 부과 시점과 관련해 "아마 한 달 정도 후에 적용될 반도체 관세에 (전자제품이) 포함될 것"이라며 "이 두 가지 분야(반도체·의약품)는 다음 달 또는 그 다음 달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를 필요로 하고 우리 전자제품은 미국 내에서 생산돼야 한다"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것들을 외국만 바라보며 외국에 의존할 수는 없다. 우리의 의약품과 반도체는 미국에서 생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지난 12일 취재진과 만나 반도체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월요일(14일)에 그 답을 주겠다"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