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소상공인에도 최대 4조 투입

정부가 통상 대응·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서민·소상공인 지원에 각각 3조~4조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10조원 추경안을 내주 초 발표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예상을 뛰어넘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우리 산업과 기업에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이번 주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내주 초 10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가 재해 대응, 통상 및 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여야 이견이 없을 필수사업을 중심으로 제안한 10조원 추경의 구체적인 내용을 곧 발표하겠다는 것이다.
최 부총리는 추경안의 개략적인 편성 방향과 관련해 "산불의 신속한 피해 복구와 재발 방지를 집중 지원하겠다"며 "산불 피해 복구계획이 확정되는 즉시, 복구 공사 등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불감시용 드론 확충, 고성능 헬기 추가 도입 등 산불 예방·진화 체계 고도화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AI 경쟁력을 높이는 데 약 3조~4조원을 지원하겠다"며 "관세 피해 중소기업 등에 대한 관세 대응 및 수출 바우처를 대폭 확대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정책금융도 추가 공급하겠다"고 했다.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첨단산업 소재·부품·장비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유턴·외투기업 투자보조금도 확충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국내 AI 생태계 혁신을 위해 올해 안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1만장 이상 추가 확보하는 한편, AI 분야 석학급 인재 등 최고급 인재 확보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부연했다.
지금 뜨는 뉴스
내수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 지원에도 약 3조~4조원을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저금리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서민·취약계층의 소비 여력 확충을 위한 사업도 최대한 발굴하겠다"고 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