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대행 체제 '시한부 전락' 분석
尹, 與의원 만나…메시지는 절제
윤석열 대통령이 관저로 돌아오면서 대통령실 국정 영향력은 강해지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운신 폭은 줄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직후 현 국정 책임자인 최 대행에 대한 언급 없이 "앞으로도 대통령실이 흔들림 없이 국정 중심을 잘 잡아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최 대행 체제는 사실상 ‘시한부’로 전락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조만간 헌법재판소 탄핵 기각 판결을 통해 대행 직무에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 최 대행은 당장 명태균 특검법에 대한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여부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데, 여권에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명태균 특검법의 경우 오는 15일까지가 거부권 행사 기한이다. 국민의힘은 이미 최 대행에게 거부권 행사를 요청했다.
윤 대통령은 구치소 석방 후 관저에서 휴식을 취한 후 헌재의 탄핵심판 운명을 기다리며 정중동 행보에 나서고 있다. 석방 시 두 주먹 불끈 쥔 행동으로 일각에서 '관저정치'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있었지만, 직무정지 상황이라 공식적인 업무에 나설 수 없는 만큼 메시지 발신 등은 자제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당장 관저에서 나와 지지자를 만나거나 공식적인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낮다"며 "관저에 머물며 탄핵심판 결정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별도의 공식적인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다만 윤 대통령 변호인 측은 지지층 단식농성장을 찾는 등 장외여론전을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만큼 기각 가능성에 대비해 일정 관리에 분주하다. 전날 오후 정진석 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회의를 진행한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비서실장 주재 티타임을 실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여당 관계자 등 예방하는 분들을 만날 수 있겠으나 적극적인 외부 활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관저에 머물며 신중히 선고 결과를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대통령실은 의료개혁 관련 보완책을 마련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대통령 직무복귀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 기존 발표 정책을 뒤집거나 미리 보완책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의대생 복귀 상황을 잘 관리하고 최대한 전원 복귀시키려는 노력, 국회 논의 중인 수급 추계 법안의 조속한 입법에 주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