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MMCA 다원공간서 개최
세계 여러 국가 전문가 8인 참여
아시아 여성 미술 담론 펼쳐
국립현대미술관은 국제심포지엄 ‘함께 말하기-아시아 여성미술가들’을 오는 7일 MMCA 다원공간에서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심포지엄에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필리핀 여성 미술 연구자뿐만 아니라 문화인류학자 등 국내외 연구자 및 큐레이터 8인이 참여한다. 다양한 맥락에서 아시아 여성 미술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과 담론을 펼친다.
심포지엄은 1부 ‘아시아 여성 미술: 역사적 맥락’, 2부 ‘미술 너머: 해석과 담론’, 3부 ‘콜렉티비즘: 다공적, 집단적 신체’로 나누어 주제별 발제자의 발표와 파트별 토론 및 종합 토론으로 진행한다.
1부 ‘아시아 여성미술: 역사적 맥락’은 중국, 일본, 대만 현대사의 맥락에서 여성 미술을 살핀다. 캐런 스미스 데잉재단 학술이니셔티브 책임자는 페미니스트임을 강변하지 않으면서도 급진적인 작업을 시도했던 1989년 이후 중국 미술가들을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2부 ‘미술 너머: 해석과 담론’에서는 다양한 맥락과 교차하는 아시아 여성 미술의 면면을 논의한다. 김현주(미술사학자)는 1988년 개최된 여성시화전 ‘우리 봇물을 트자: 여성 해방시와 그림의 만남’의 한국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문맥에서의 중요성과 의미를 살핀다.
3부 ‘콜렉티비즘: 다공적, 집단적 신체’에서는 테사 마리아 구아존 필리핀대학교 딜리만캠퍼스 부교수가 1987년 설립된 필리핀 여성미술가 집단 ‘KASIBULAN’(여성 미술과 새로운 의식)의 의의와 영향력에 대해 논의한다.
참가신청은 국립현대미술관 누리집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무료로 할 수 있다. 250명 선착순 마감한다.
지금 뜨는 뉴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아시아 여성 미술에 대한 이해와 확장된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국립현대미술관은 국제 미술연구의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