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2시께부터 안 위원장 출입 막아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상정으로 논란을 일으킨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전원위원회가 결국 파행됐다.

인권위는 13일 오후 3시에 '2025년 제1차 전원위원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회의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인권위 직원이 포함된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등 시민단체는 이날 오후 2시께부터 전원위 회의가 열리는 서울 중구 인권위 건물 14층 회의실 앞 복도에서 '내란 동조 긴급 안건' 철회를 촉구하며 규탄 시위에 나섰다. 이들은 회의장에 진입하려고 한 안 위원장을 비롯해 이충상, 김용원 등 상임위원들의 출입을 가로막았다.
인권위는 이날 전원위를 개최하고 ▲국회의장은 국무총리 한덕수에 대한 탄핵소추를 철회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도록 할 것 ▲헌법재판소장은 국무총리 한덕수에 대한 탄핵 심판 사건을 다른 탄핵 심판 사건들에 앞서 신속하게 심리하고 결정할 것 ▲대통령 윤석열에 대한 탄핵 심판 사건에서 피청구인의 방어권을 철저히 보장할 것 등의 안건을 상정해 논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해당 안건이 상정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인권위가 내란에 동조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지금 뜨는 뉴스
인권위 직원들을 포함한 전국공무원노조는 이날 오후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3 비상계엄 사태로 국민의 인권이 침해되는 중대한 상황에서 한 달여 동안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인권위가 오히려 내란 주범들을 두둔하는 권고를 결정하려 하고 있다"며 안창호 위원장과 일부 위원들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