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전부터 소집 전달 놓고 신경전
허은아 "이준석 대주주 비위 거스른 탓"
천하람 "허 대표 공천 못 받은 게 본질"
개혁신당 지도부가 13일 허은아 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당내 갈등 문제를 두고서 공개적으로 충돌했다. 허 대표는 '이준석 의원의 상왕정치'를 개혁신당 갈등의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천하람 원내대표는 허 대표의 '사당화'가 이번 논란의 핵심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오전 진행한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의는 시작부터 양측 갈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허 대표는 회의장에 입장하는 최고위원들에게 "오전 9시 30분부터 사전회의인데 왜 안 들어왔느냐"고 묻자, 천 원내대표 "무슨 말씀이냐, 통지 자체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기인 최고위원 역시 허 대표를 향해 "착각하지 마시라"고 반박하자, 허 대표는 "착각하지 말라는 등 단어는 조심해주셨으면 좋겠다.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달라"며 회의 시작 전부터 양측은 그동안 쌓인 감정의 골을 표출했다.
허 대표는 회의 모두발언에서 "당 대표가 권한에 따라 당을 운영하겠다고 했을 뿐인데 이른바 대주주 비위를 거슬렀다는 이유로 대표를 쫓아내려 한다"고 직격했다. 그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2022년 여름 국민의 힘에서 벌어졌던 일과 다를 바가 없다. 달라진 점은 당 대표가 이준석이 아닌 허은아이고, 대주주가 윤석열이 아닌 이준석이라는 것뿐"이라고 설명했다.
허 대표는 "절차도 지키지 않은 채 자기들끼리 만든 당헌 당규로 당 대표를 내쫓으려는 시도에 대해 더는 방관할 수 없다"며 "이준석 의원은 상왕정치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고위원들을 향해 "사무총장 임명권은 당 대표의 고유 권한임을 인정해야 하고, 최고위원회 회의 진행도 대표의 고유 권한"이라며 "천 원내대표 및 최고위원들은 당헌, 당규 위반 행태를 중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표를 허수아비로 만들려는 사무총장의 당헌·당규 개정 시도 역시 잘못된 것임을 인정하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이에 천 원내대표는 "이 다툼의 본질은 지난 총선 당시 있었던 비례대표 공천 갈등의 후유증"이라며 "정확히는 허 대표가 비례 공천을 못 받았던 것이 이 사태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천 원내대표는 "가장 먼저 허 대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것은 당직자들이었다"며 "허례허식이 너무 많고 불필요한 비용 지출과 의전 강요, 본인의 언론 노출을 만들어내라는 압박, 당 비전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는 점이 당직자 입장에서는 힘들게 다가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허 대표가 당 전체를 허은아 의원실처럼 운영했기 때문에 이를 바로 잡으려던 것"이라고 했다. 사태의 본질은 허 대표의 사당화에 있다는 주장이다.
이기인 최고위원은 "허 대표는 이 모든 사안이 자신을 향한 음해이고 모략이라고 착각한다"며 "망상도 이 정도면 병이다. 지금 허 대표는 이준석이 아니라, 바른미래당의 손학규다. 제발 결자해지하라"고 직격했다. 전성균 최고위원 역시 "허 대표가 한남동 관저에서 버티기를 하는 윤석열과 다를 바 없어 보인다. 2기 지도부가 총사퇴할 명분이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허 대표는 "만약 이준석 의원이 당대표였다면 똑같이 했겠는가. 부족한 가장은 있을 수 있다"면서도 "어떤 가장도 집안을 망하게 하고 싶은 사람은 없다. 가장이 마음에 안 든다고 집을 나가라고 하겠나"고 거듭 반박했다.
지금 뜨는 뉴스
양측 갈등이 장기화하자 이준석 의원 측은 허 대표의 신임을 묻는 '당원소환제'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 의원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허 대표가 2022년 국민의힘 당대표 축출 사태와 비슷하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의 질문에 "누가 윤리위원회를 동원한다든지, 절차에 없는 방법으로 허 대표에게 뭐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