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기업들, 중국 대체할 제조 국가 찾기위해 고군분투
도널드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가 확정되면서 미국 기업들 사이에서 중국 제품을 사재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폭탄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이다.
20일(현지시간)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내 일부 기업은 수개월에서 최대 1년간 판매할 제품을 미리 주문해 놓는 등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년 1월20일 트럼프 당선인이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 최대한 재고를 쌓기 위해서다.
위스콘신주 소재 스킨케어 제품 판매회사 베어 보타닉스가 대표적이다. 창업자 제이슨 주노드는 지난 6일 밤 트럼프의 대선 승리가 확실해지자마자 곧장 중국의 공급 업체로 연락을 취했다고 알려졌다. 중국 제조업체로부터 각질 제거 장갑 등을 수입해 판매하는 주노드는 이날 1년 치 재고에 해당하는 5만 달러(약 6900만원)어치의 제품을 한꺼번에 주문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취임 전 주문한 제품 3만여개가 모두 무사히 도착하길 바란다면서, 트럼프 당선인이 모든 중국산 물품에 60% 관세를 매기겠다는 공약을 강력히 밀어붙일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이같이 미국 업체들이 미·중 무역전쟁에 대비해 미리 중국산 제품 구매를 늘리는 건 처음은 아니다.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에 나섰을 당시에도 일부 미국 기업들은 새로 도입된 고율관세가 시행되기 전에 급히 중국산 제품을 사재기했다.
그 영향으로 미국의 2018년 대중 무역 적자 폭은 오히려 전년도보다 커진 바 있다. 이후 무역전쟁이 본격화된 이듬해부터 적자 폭은 줄어들었다.
WSJ는 이미 한차례 트럼프 시대를 경험한 미국 업체들은 그의 복귀가 임박하자 발 빠르게 과거의 전략을 다시 꺼내 들고 있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실제로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해 중국산 물건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한다면 많은 업체가 결국 소비자가격 인상 수순을 밟을 수 있다고 WSJ는 내다봤다.
일부 업체들은 남미나 캄보디아, 베트남 등 중국을 대체할 제조 국가를 찾기 위해 분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