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30대 이상 성인 디지털 재교육 강화
AID 선도대학 100개교 지정·육성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을 살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디지털(AID) 역량 강화 교육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선도대학 100곳을 지정해 교육을 주도적으로 실시하고, 성인 1만명에 연간 35만원의 '경력 도약권'을 지급한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6일 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공지능·디지털(AID) 30+ 프로젝트(안)'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개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30대를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는 점에 착안했다. 30대 이상 성인의 디지털 재교육·향상교육을 강화하고, 성인 재교육 수요가 높은 대학의 평생교육 역할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혁신대학 100곳 육성…AID 역량 제고
교육부는 일반대학·전문대학·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AID 선도대학 100개교를 육성하기로 했다. 100개교는 기능별로 나뉜다. 예를 들어 일반대 20곳은 '집중캠프'가 되어 30~40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일 저녁과 주말 등 AID 업스킬링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전문대 30곳은 '디지털 전환 중심 전문대학'으로 지정돼 온·오프라인으로 시공간 제약 없이 AID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강좌를 개발 및 운영한다. 이 밖에도 온라인 중심의 AID 묶음강좌 20개교, MOOC 선도대학 15개교, 디지털 혁신 사이버대 10개교 등에 예산을 지원한다.
이처럼 대학의 성인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도록 고등교육법상 대학의 역할을 '평생교육 진흥'까지 확대하고, 선발 일정을 자율화해 성인의 대학 진입을 유도할 방침이다. 전문대·원격대 재학생이 AID 분야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국민내일배움카드 활용도 적극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30세 이상 성인 1만명에 32억원 …학점은행제 참여 ↑
기술이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30세 이상 성인 1만명에게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을 지급한다. 이른바 '인공지능·디지털 경력 도약권(AID 커리어점프 패스)'로, 내년부터 1인당 연간 35만원을 지급해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장애인의 경우 디지털 문해교육을 제공해 디지털 자립을 지원한다. 특히 '디지털 소외 계층'이 취약한 금융 앱, 무인주문기(키오스크) 이용법 등 생활밀착형 교육을 통해 디지털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도 목표다.
이 밖에도 교육부는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디지털 교육사업의 학점은행제 참여를 확대해 전통적인 평생학습제도를 개선한다. 디지털 분야에서 '집중 학습'이 가능하도록 소단위 전공과정(12학점 이상)을 도입하고, 독학학위제에 AID 관련 전공을 신설할 방침이다.
미래 경력개발을 위해 대학생 1인에게 평생학습 1계좌 개설도 지원한다. 학습자의 학력·자격 등 평생학습 결과를 개인별 학습계좌에 등록해 관리하는 제도다.
지금 뜨는 뉴스
이 부총리는 "지금 대한민국은 기술 혁신과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한 중요한 시기로, 교육부는 관계부처·기업 및 지자체·대학과 함께 국가 차원의 디지털 평생학습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