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ARS 프로그램 연장 안하기로 결정
사측, 회생 개시 땐 인수·합병 추진 계획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을 통한 티몬과 위메프의 자구안 마련이 사실상 불발됐다. 법원은 조만간 두 회사의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회생법원 회생2부(안병욱 법원장·김호춘 양민호 부장판사)는 30일 오후 두 회사와 채권자협의회 등의 참석하에 2차 회생 절차 협의회를 열고 ARS 프로그램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안 법원장은 "빠른 시일 내에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라며 "채권자협의회에선 대표 채권자를 통해 개시 여부에 대한 의견을 재판부에 제출해 달라"고 말했다.

ARS는 회생절차 개시 결정에 앞서 채무자와 채권자들 사이에 자율적인 구조조정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법원이 지원하는 제도다. 분쟁을 신속하고 원만하게, 최소한의 비용으로 해결하려는 취지로 도입됐다.
앞서 법원은 지난 2일 두 회사에 대한 ARS 프로그램을 승인하고, 회생절차 개시 결정에 앞서 내달 2일까지 한 달의 시간을 줬다. 사측은 주요 채권자를 구성원으로 채권자협의회를 구성한 뒤 협의를 진행했지만, 이날까지 채권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자구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두 회사의 ARS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임명된 구조조정 담당 임원(CRO) 역시 ARS 기간 동안 투자자 찾기에 난항을 겪었다고 보고했다. CRO는 "회사의 자금 수지 상황이 좋지 않고, 자금 유입은 극히 미미한 상황"이라며 "투자자 입장에서 인수 협상은 현 단계에서는 어렵고, 개시 이후 협상을 이어가자는 입장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일부 채권자들도 ARS 프로그램 연장에 반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신정권 티몬·위메프 사태 피해자 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협의회 후 기자들과 만나 "금액, 투자처에 대한 정확한 내용이 나왔다면 신빙성이 있으니 만족스럽다는 단어를 쓸 수 있겠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ARS 프로그램 연장에 대해서도 "시간이 계속 늘어지면 회사 가치만 떨어져 회수할 채권 가치가 떨어진다"며 "판매자들과 의견을 나누고 공식적인 의견서를 재판부에 제출하기로 했다"고 했다.

ARS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법원은 조만간 두 회사의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 뜨는 뉴스
두 회사는 회생절차 개시가 허가되면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할 계획이다. 류화현 위메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국내 사모펀드 2개 회사에서 출자하겠다는 인수의향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현재 두 회사는 15곳의 투자자와 투자유치를 위한 미팅을 진행했는데, 대부분 ARS 단계에서는 투자 검토를 진행하는 게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