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파라과이 정부가 통상과 산업, 에너지 분야의 첫 정부 협력 채널을 구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23일 서울에서 하비에르 히메네스 파라과이 산업통상부 장관과 '한-파라과이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라과이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와 함께 세계 5대 경제 블록인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회원국이다. 남미 국가 중 높은 경제성장률(2023년 4.6%)을 보이는 가운데 타 메르코수르 국가 대비 저렴한 임금과 낮은 세율, 유리한 원산지 조건 등 양호한 비즈니스 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다. 파라과이 진출기업(현지 법인)은 원자재와 임금 등의 현지 조달 비율 40% 충족 시 타 회원국에 무관세 수출이 가능하다. 이는 브라질(60%)과 아르헨티나(45%), 우루과이(50%)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파라과이 신차 모델별 점유율에서 상위 20대 모델 중 한국산이 40%인 8대를 차지하고, 우리 자동차용 케이블 제조업체가 현지 최대규모의 자동차 부품 제조·수출기업으로 성장한 사례 등을 고려할 때 향후 파라과이로의 수출 확대와 메르코수르 역내 제조업 진출 거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이날 체결식 직후 이어진 한-파라과이 통상장관회담에서 양측은 ▲양국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TIPF 활용방안 ▲산업·에너지 협력 ▲한-메르코수르 무역협정(TA) 진전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향후 TIPF 산하 무역투자협력위원회(TICC)를 통해 협력 의제를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정 본부장은 "이번에 구축한 파라과이 산업부와의 협력 채널은 양국이 통상과 산업, 에너지 분야 경제협력을 본격 추진해 나가기 위한 발판을 최초로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향후 양국 간 실질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하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