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계, 해리스 대선 출마에 흥분해"
"무조건 표 줄거라 속단은 금물" 지적도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로 부상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에 소수인종 유권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파완 딩그라 미국 애머스트대 미국학 교수는 23일(현지시간)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인도계는 물론 미국 내 아시아계 전체가 해리스 부통령의 대선 출마에 흥분하고 있다"고 전했다. 1990년 인도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민주당 지지자 수레시 칼리아나라만(55)는 NBC 방송 인터뷰에서 "2008년 버락 오바마가 승리했을 때와 비슷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미국 내 아시아계 인구는 지난 2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아시아계 미국인 유권자의 약 62%는 민주당을 지지한다. 전체 숫자는 미국 인구의 약 7%에 불과하지만, 경합주에서 선거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집단으로 올라섰다고 선거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오바마에 이어 두 번째 흑인 대통령이 탄생할 가능성을 본 아프리카계 공동체의 반응도 뜨겁다. 흑인 여성 단체인 '흑인 여성과 함께 이기다'(Win With Black Women) 지도부 4만4000여명은 해리스 부통령 지지를 선언하고, 세 시간 만에 150만달러(약 20억7000만원)의 기부금을 모았다. 흑인 인권운동가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딸 버니스 킹도 해리스를 지지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러한 반응은 지난 21일 민주당 대선 후보에서 사퇴한다고 선언한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흑인과 아시아계가 보여온 미온적인 태도와 상반된다. 지난 10일 미국 내 아시아·태평양계(AAPI)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46%로 2020년 대선 당시보다 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층 일부가 이민, 경제 등과 관련한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에 불만을 느껴 이탈한 것으로 진단된다.
흑인이자 인도계인 해리스의 등판은 그간 바이든과 트럼프 모두에 시큰둥한 태도를 보여온 소수인종 유권자들의 표가 민주당으로 쏠릴 가능성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같은 소수인종이라는 사실만으로 유권자들이 기꺼이 표를 줄 것이라고 속단해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금 뜨는 뉴스
딩그라 교수는 "그(해리스)는 모든 미국인이 관심을 갖는 문제를 말하되 아시아계와 연결이 되는 방식으로 이야기해야 한다. 아시아계에 중요한 특정 외교정책에 대한 입장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부통령으로 재직하면서 존재감이 희미했던 것도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