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탈이 지속되면 서울 시립병원인 서울의료원과 보라매병원이 올해 9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월20일부터 집단 이탈한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두 시립병원이 올해 연말까지 897억원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추계했다.서울의료원의 손실은 525억원, 보라매병원은 372억원에 이른다.
의정 갈등 여파로 전공의 비율이 높은 공공 의료기관도 병상 가동률이 떨어졌다. 전공의 이탈 전 72%였던 서울의료원의 병상 가동률은 5월 말 기준 44%로 28%포인트 하락했다. 보라매병원도 72%에서 52%로 20%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의료원은 의사 203명 중 전공의가 44명으로 비율이 22%, 보라매병원은 의사 348명 가운데 전공의가 118명으로 34%다. 보라매병원의 전공의 비율은 서울아산병원(34.5%), 서울성모병원(33.8%)과 비슷하다.
외래환자 진료 실적도 악화됐다. 보라매병원은 지난해 하루 평균 외래환자 3332명을 진료했으나 전공의 사직사태 이후인 5월에는 2888명으로 줄었다.
서울시는 두 시립병원의 손실 중 절반가량인 456억원에 대해 시 예산을 투입해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앞서 재난관리기금 118억원을 투입했으나, 추가경정예산안 338억원을 편성해 재정을 다시 투입할 방침이다. 재난관리기금과 추경까지 합하면 총 456억원이다.
병원들은 비상 경영 체제를 가동하며 각종 비용 절감에 나섰다. 서울의료원과 보라매병원 의사직이 아닌 직군의 신규 채용은 유보하고, 의사직을 제외한 전 직원에게 무급휴가를 권고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중이다. 서울의료원은 MRI 및 CT 촬영, 재활치료 등 진료 실적을 높이고 각종 행사·홍보 비용은 줄일 계획이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