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철강 '헐값 수출' 늘자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시계아이콘01분 1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1Q 수출량 전년比 28%↑…가격은 37%↓
美 "25% 관세 부과해야"
칠레, '조업중단'에 33.5% 관세 결정

中 철강 '헐값 수출' 늘자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AD

중국의 철강 수출이 급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무역 긴장을 촉발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이 자국 내 남아도는 철강을 저가로 '밀어내기식' 수출을 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1억t가량의 공급 과잉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2019년부터 매년 약 10억t의 철강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위기로 건설 수요가 위축되면서 중국 철강 업계는 재고 소진을 위해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철강 약 2600만t을 수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8% 증가한 수치로, 2016년 이후 최대치다. 3월 한 달 수출량만 해도 990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늘었다.

中 철강 '헐값 수출' 늘자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작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중국 철강 수출 규모는 9500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뛰었다. 이는 2022년 미국 전체 철강 소비량보다 많다.


반면 가격은 대폭 떨어졌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산 철강의 t당 가격은 788.8달러로, 전년 동기(1254.5달러) 대비 37% 저렴하다.


중국산 철강의 최대 수출처는 동아시아지만, 최근 인도, 중동, 라틴아메리카 등으로의 출하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원자재 업체 칼라니쉬에 따르면 1분기 브라질로의 중국산 철강 수출량은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했으며 콜롬비아는 46%, 칠레는 32% 뛰었다. 블룸버그는 같은 기간 중국산 철강의 이집트 수출은 95% 뛰고, 아랍에미리트로의 수출은 81% 급증했다고 밝혔다.


중국산 철강 수출 급증으로 전 세계 곳곳에서 무역 마찰이 심화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최대 25% 관세를 부과할 것을 촉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7일 중국 철강 회사들이 정부 보조금을 받아 낮은 가격에 덤핑 판매하는 '부정행위'를 한다며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 관세를 25%까지 올리라고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권고했다. 현재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의 평균 관세는 7.5%로, 바이든 대통령 지시대로라면 관세가 3배 뛰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산 철강 수입 비중이 다른 국가만큼 높지 않지만, 중국의 공급 과잉을 견제하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앞서 태양광, 2차전지, 전기차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중국의 과잉 생산을 여러 차례 지적했다. 동시에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면서 11월 대선 표심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에 중국 정부는 중국의 불공정 통상 관행이 "사실무근"이라며 미국의 징벌적 관세 부과를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AD

칠레는 지난 22일 미국보다 먼저 중국산 철강에 최대 33.5%에 달하는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업은 중국산 철강 제품이 저렴한 가격에 대량 수입되자 칠레 주요 철강 회사인 CAP가 조업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둔 영향이다. 라틴아메리카 철강협회(Alacero)에 따르면 역내 철강 시장에서 중국산 점유율은 2000년 15%대에서 2023년 54%까지 치솟았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1706:10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610:10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010:00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911:19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811:41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신뢰가 없으면 공동체 구성원 간에 믿음이 없으니, 나라가 바로 설 수 없다." 정치 원로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춘추시대 유학자인 공자(公子)가 남긴 말을 전했다. 지난겨울 비상계엄의 충격파 속에 혼돈에 휩싸여 있던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얘기다. 문 전 의장은 "공자 말씀이 ‘정치가 무엇이냐’를 물으면 군사(국방, 안보)와 식량(경제), 믿음(공동체) 3가지를 말했다"면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4.2107:20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지난 18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2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유 대표는 "시장 원리를 거스르면 목표 달성도 못 하고 부작용만 커진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며 "원자력은 꼭 필요하다. 가급적 빨리 신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연공서열제를 개혁해야 정년

  • 25.04.1807:39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국회의원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 이사장이기도 한 양 전 의원은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며 "제3세력 태동 가능성은 사그라들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누가 정권을 잡든 대선 이후 경제적 불평등 등에 대한 깊은 통합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17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서울 중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