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팝인데 한국어가 없네" 블랙핑크 성공 후 걸그룹, 영어가사가 대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걸그룹 시장 확대, 글로벌 대중 공략"
보이그룹은 영어 가사 비중 24.3%

K팝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가사 속 영어 비중이 크게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걸그룹에서 더 두드러졌다.


"K팝인데 한국어가 없네" 블랙핑크 성공 후 걸그룹, 영어가사가 대세 그룹 (여자)아이들. [사진 제공=큐브엔터테인먼트]
AD

31일 써클차트 김진우 수석연구위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디지털 차트 톱 400에 오른 걸그룹 음원 노랫말에서 영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동기 대비 18.9%포인트 증가한 41.3%였다.


그룹 별로는 (여자) 아이들의 올해 상반기 영어 가사 비중이 53.6%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르세라핌 50.6%, 블랙핑크 50%, 엔믹스 49.3%, 뉴진스 48.4% 순이었다.


반면 아이브의 노랫말은 영어 비중이 24.9%로 낮은 편이었다.


이들의 영어 가사에는 '아이'(I), '유'(You), '라이크'(Like), '러브'(Love) 등이 주로 사용됐다.


김 연구위원은 "블랙핑크의 글로벌 성공 이후 내수 중심의 걸그룹 시장이 해외로 확대되며 영어 사용 비중이 늘어났다"며 "그룹별로 봐도 해외 소비층이 많을수록 영어 사용 비중이 높다"라고 해석했다.


또 강태규 대중음악평론가는 "MZ세대는 영어 가사에 대한 거부감이 전혀 없고, 그런 현상이 실제 차트에도 반영되고 있다"며 "굳이 가사에 우리말로 제한을 둘 필요가 없어진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K팝인데 한국어가 없네" 블랙핑크 성공 후 걸그룹, 영어가사가 대세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사진 제공=빅히트뮤직]

반면 보이그룹도 걸그룹처럼 영어 가사 비중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상대적으로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보이그룹의 경우 영어 가사 비중이 올해 상반기 24.3%를 기록해 2018년 상반기 대비 5.6%포인트 증가했다.


김 연구위원은 "걸그룹은 팬덤뿐 아니라 글로벌 대중을 공략하고 있어 팬덤 중심의 남자 아이돌과는 차별화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써클차트 기준 디지털 차트 톱 400에 든 아이돌(유닛·개인 활동 포함) 음원으로 2018년 상반기 걸그룹 38곡과 보이그룹 76곡, 2023년 상반기 걸그룹 63곡과 보이그룹 24곡이다. 곡 전체가 영어인 경우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편 조사에 따르면 K팝 곡 제작에 참여하는 인원수도 늘었다. 이에 아이돌 멤버들의 작사·작곡 참여와 해외 작곡가들의 K팝 시장 활동 등이 인원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상반기 K팝 1곡 제작에 참여한 인원은 작사 3.9명, 작곡 4.8명, 편곡 2.2명으로 2018년 동기 대비 각각 1명, 1.4명, 0.5명씩 증가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