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화석 연구 결과
현재는 1mm도 안 되는 작은 동물인 '물곰' 또는 '곰벌레'가 우주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은 생존력으로 '지구 최강 생존자'로 불린다. 그런데 국내 연구팀이 5억 년 전에는 1000배 정도 더 컸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극지연구소는 9일 김지훈 박사 연구팀이 5억 년 전 화석과 비교 연구를 통해 완보동물의 조상과 진화과정을 찾아냈다며 이같이 밝혔다.
완보동물은 물곰으로 잘 알려졌으며, 우주, 남극 같은 일반적으로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지구 최강 생존자’라는 별명을 갖게 됐다.
연구팀은 미국·중국 등 국제공동연구팀과 함께 현생 완보동물 40여 종을 5억 년 전 엽족동물들의 화석 형태와 비교 분석해 엽족동물의 한 종류인 ‘루올리샤니드’가 완보동물의 조상임을 발견했다. 엽족동물은 마디가 없는 다리를 지닌 벌레 형태의 동물로, 5억 년 전 캄브리아기 때 번성했다가 지금은 멸종했다. 현생 범절지동물군 (절지동물, 유조동물, 완보동물)의 조상으로 알려졌다.
화석에서 확인한 루올리샤니드의 크기는 2~10cm로, 일반적으로 다 자라도 1mm가 안 되는 현생 완보동물의 약 50~1000배에 달했다. 완보동물과 달리 긴 앞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앞다리에 난 털로 작은 먹이를 모으거나 걸러 먹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중간 머리 부분에 존재하는 한 쌍의 기관, 두 종류의 몸통 다리 등 공통 형질을 근거로 루올리샤니드를 완보동물의 조상으로 추정했다. 완보동물이 5억 년 전 형태에서 지금의 모습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특정 유전자의 소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5억 년 전 완보동물의 조상을 실증한 세계 최초의 연구 결과이다. 고생물학-현생 생물학 간 융합연구 자체도 드문 사례인데, 두 학문을 모두 전공한 김 박사의 독특한 이력 덕분에 수억 년 전 화석동물과 현생동물을 비교하며 진화과정 추적에 성공할 수 있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NAS)'에 지난달 게재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