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도체 인력 양성 봇물…고급·해외 인재 확보는 과제

시계아이콘01분 3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 반도체 아카데미 내년 운영 시작
산업계 주도 인재 양성 본격화
지역 대학 합심해 공동 캠퍼스 구축도

줄어드는 학생 수는 대안 필요
"석·박사급, 해외 충원 살펴야"

반도체 인력 양성 봇물…고급·해외 인재 확보는 과제
AD

[아시아경제 김평화 기자]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과제인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와 민간에서 새로운 수요형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실무형 인재를 배출하는 데 적극적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은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고급 인력 양성과 해외 인재 유치에 힘써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13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산업계 주도의 인력 양성 컨트롤타워 ‘한국 반도체 아카데미’가 내년 4월 말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에 등장했던 인력 양성 기관이 실체를 드러내는 것이다. 대학에서 반도체 인력을 배출하려면 4년 넘는 시간이 걸린다. 반도체 아카데미는 단기간에 실무형 인재를 산업계가 직접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 시설이다. 현재 교육 커리큘럼의 70%를 완성한 상태로 기업 협조 요청과 강사 확보 등의 세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 설계와 장비, 부품, 패키징 등 다수 분야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향후 5년간 3600명 이상의 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전국 각 지자체도 인근 대학과 연합 전선을 꾸리는 식으로 새로운 인력 양성 계획을 내놓고 있다. 전남·광주는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달 반도체 인재 양성위원회를 선보였다. 해당 위원회는 지역에 있는 다수 대학, 학과별로 다른 반도체 커리큘럼을 모아 교수진과 교육 시설 등을 공유하는 공동 캠퍼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도 반도체를 지역 특화 산업으로 키울 생각이다. 이를 위해 부산대, 부경대 등 13개 지역 대학이 공동교육 과정을 만들고, 공유 대학을 선보이기로 했다. 파워(전력) 반도체 인재 양성뿐 아니라 관련 기업 재직자 교육까지 전방위적인 협력에 나선다.


학계에선 전공 경계를 허물고 인재 양성 속도를 높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대는 내년 1학기부터 학부 2학년 이상인 학생을 대상으로 반도체 융합 전공을 개설한다. 반도체 물리를 기초로 전공 지식과 실무 교육을 제공하는 조건이며 기존 전공과 관계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반도체설계교육센터는 2년 단위 석사 과정의 반도체 설계 교육을 4개월로 압축해 마이크로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전자 등 관련 전공자뿐 아니라 인문계 졸업자도 교육생으로 받아 최근 62명이 해당 교육을 수료한 상태다.


반도체 업계에선 이같은 인력 공급이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도체 인력난이 점차 심화하는 상황에서 실무형 인재를 투입해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미래 신주력산업 인력수급상황 체감조사를 보면 전체 반도체 업체의 45%가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지난해 기준 반도체 산업 분야 전체 인력 수가 17만6509명이며 2030년까지 필요한 신규 반도체 인력이 약 12만7000명이라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을 키울 석·박사급의 고급 인재 양성과 해외 인력 유치를 고민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부회장은 "국내 학생 수가 줄어드는 데다 석·박사로 가려는 비율도 줄어들고 있어 고급 인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반도체를 포함해 지속해서 인력이 필요한 분야에선 앞으로 해외 인력도 필요한 만큼 이민 정책 등의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역시 이달 보고서를 통해 국내 노동 시장의 대외 개방성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최저 수준이라며 반도체 등 유망 산업에서 해외 우수 인재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