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세종=김혜원 기자] 정부가 근로시간과 임금 체계를 개편하는 방향으로 노동개혁에 나선다. 52시간제는 운영 방법과 이행 수단을 현실에 맞게 바꾸고 장년 근로자가 더 오래 일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2차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고도화·다변화된 경제·산업 구조에 비춰볼 때 제조업 중심 산업화 시대에 형성된 노동 규범과 관행은 더 이상 우리의 몸에 맞지 않는 옷과 같다"면서 "누적된 노동시장의 비효율·양극화·불공정 해소와 함께 당면한 산업 구조 재편과 노동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동시장 개혁은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지적했다.
추 부총리는 "우선 근로시간과 임금 체계 개편을 추진할 것"이라면서 "사회적 대화를 통해 다양한 노동시장 개혁 과제를 폭넓게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일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일하고 정당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기업은 활력을 높일 수 있도록 노동시장을 개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근로시간 제도는 현장에서 장시간 근로환경 개선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주 최대 52시간제라는 기본 틀 속에서 운영 방법과 이행 수단을 현실에 맞게 개편할 것"이라고 했다. 또 "초고령사회를 대비해 장년 근로자가 더 오래 일하고 청년들이 더 많은 일자리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임금 체계도 개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