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동산 '영끌族', '깡통주택' 리스크 직격탄

시계아이콘01분 1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과도하게 유입된 자산 거품 빠지면 '깡통주택' 속출 지적

부동산 '영끌族',  '깡통주택' 리스크 직격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일대의 모습./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김동표 기자] 미국발(發) 금리 인상 우려가 확산하면서 ‘영혼까지 끌어모아’ 빚을 내 집을 매수한 이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자칫 집값이 하락할 경우 집을 팔아도 빚을 갚지 못하는 ‘깡통주택’이 속출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이 가속화될 경우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을 한계치까지 끌어쓴 아파트 ‘영끌족’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지난해 패닉바잉 열풍 속에 대출을 끼고 주택을 매수한 젊은 층은 당장 급증하는 이자 비용 부담에 맞닥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이 2019년 분석한 금리 상승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대출원금 3억원·만기 30년으로 대출했을 때 월 상환액은 금리가 3.5%에서 4.5%로 1%포인트 상승시 134만7000원에서 151만 5000원으로 16만8000원이 증가한다. 연간으로는 200만원 이상 부담이 느는 셈이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금리 인상시 이자 부담이 높아지면 경매로 나오는 물건이 늘어날 수 있다"면서 "영끌은 주택담보대출만이 아니라 금리가 높은 편인 신용대출 등도 포함되는데 금리인상 시 20·30 계층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장혜영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2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593조원으로 이중 변동금리(혼합형 변동금리 잔액 포함) 비율은 68.1%에 달한다. 금액으로는 총 404조원이며, 1년 전보다 53조원 늘어난 규모다. 주담대 잔액의 약 30%를 차지하는 20·30대 차주의 변동금리 비중도 68.3%에 이르는데다 특히 20대는 변동금리 비율이 72.6%나 됐다. 청년들의 주담대 상당 규모가 금리인상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는 것은 물론 단기간에 급등한 부동산 가격도 조정에 들어갈 수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집값이 하락할 경우다. 저금리기조에 이어 정부의 대규모 주택공급 정책이 순항하게 될 경우 부동산시장에 몰렸던 자금이 위축되는 것은 물론, 과도하게 유입된 자산의 거품이 걷히며 영끌족의 ‘깡통주택’ 리스크가 커질 수 있어서다.


이미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과열되면서 ‘집값 상투론’에 대한 주장이 불거지고 있다. 지난해 서울지역의 4분기 기준 주택구입부담지수(HAI)는 역대 최고치인 153.4를 기록하며 전국 평균치보다 100포인트 이상 높았다. 이는 과거 주택시장 침체기 진입 시점 이전인 2007~2008년 수준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가계 부채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금리 인상 시 대출을 받아서 영끌한 계층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면서 "특히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계층은 2030이고, 지역별로는 서울보다 수도권 외곽, 지방이 금리인상의 영향을 먼저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