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에이징'·'쇼룸' 대체어로는 '건강 노년맞이'·'체험 전시실' 추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5일 '콜키지(corkage)'와 '코르크 차지(cork charge)'를 우리말 '주류 반입비'로 바꿔 부르자고 권했다. 아울러 '웰에이징(well-aging)'과 '쇼룸(showroom)'를 대체할 우리말로 '건강 노년맞이'와 '체험 전시실'을 각각 추천했다.
콜키지와 코르크 차지는 호텔이나 음식점에서 고객이 가지고 온 주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받는 요금을 뜻한다. 대체어인 주류 반입비 선정에는 설문조사 결과가 반영됐다. 지난달 29~31일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97%가 적절하다고 답했다.
웰에이징은 노화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몸과 마음의 건강을 추구하며 나이 드는 것을 가리킨다. 쇼룸은 특정 제품이나 회사를 홍보하기 위해 각종 상품을 진열·전시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달 26~28일 열린 새말모임에서 각각 건강 노년맞이와 체험 전시실로 대체어를 정했다.
지금 뜨는 뉴스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국어 신어가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는 위원회다. 국어, 외국어, 교육, 홍보·출판, 정보통신, 언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정부 부처와 언론사가 주도적으로 대체어를 사용하도록 지속해서 홍보할 방침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