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가족 다양성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실시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 48.3% 수용
부모가 협의해 성·본 정하도록 제도 개선 찬성 73.1%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혼인과 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생계와 주거를 공유한다면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여성가족부는 이러한 내용의 질문을 담은 '가족 다양성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총 1500명이 참여했다.
이번 설문 결과 전통적 혼인과 혈연 중심의 가족 개념이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개인적 수용도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응답자의 69.7%가 혼인·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생계와 주거를 공유한다면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또 정서적 유대를 갖고 있는 친밀한 관계이면 가족이 될 수 있다는 비율은 39.9%로 나타났다. 법적인 혼인·혈연으로 연결돼야만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는 비율은 64.3%로 작년보다 3.0%p 하락했다.
다양한 가족의 형태는 외국인과 결혼하는 것(92.7%), 이혼 또는 재혼(85.2%), 성인이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것(80.9%)에 대한 수용도가 높았다.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은 48.3% 수용할 수 있다고 답해 작년 대비 3.8%p 상승했다.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은 응답자의 29.5%만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으나 작년 대비 4.1%p 상승했다.
한부모 가족의 자녀(81.2%), 입양된 자녀(80.4%)에 대한 수용도 역시 높았고 다문화 가족의 자녀에 대한 수용도는 전년 대비 5.0%p로 상승폭이 컸다.
다양한 가족 정책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은 한부모 가족과 미혼부모 가족 지원 필요성을 인정하는 비율이 특히 높았고 1인 가구 지원 필요성도 전 연령대에서 높아졌다.
현재 태어난 자녀의 성과 본은 원칙적으로 아버지를 따르도록 하고 있지만, 자녀의 출생신고 시에 부모가 협의해 성과 본을 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73.1%가 찬성했다. 여성(80.6%)이 남성(65.8%)보다 찬성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찬성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금 뜨는 뉴스
부모의 혼인 여부에 따라 태어난 아동을 ‘혼인 외의 출생자(혼외자)’와 ‘혼인 중의 출생자(혼중자)’라는 용어로 구분 짓는 것을 폐기해야 한다는 문항에 응답자의 75.9%가 찬성했다. 40대의 85.2%가 찬성한 반면, 60대는 57.8%만이 찬성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