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함께하는 사회]내각 30% 여성으로…文 정부 양성평등 앞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내각의 30%를 여성으로 채우겠다고 공약하면서 양성평등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남성이 강세를 보였던 공공부문이 '유리천장'을 타파하는 데 앞장선다면 다른 분야로의 확산도 기대해볼 수 있다는 게 여성계의 시각이다.


문 대통령은 외교부 장관엔 비(非) 고시 출신 강경화 유엔(UN) 정책특별보좌관을, 국토교통부 장관엔 김현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각각 지명했다. 이어 환경부 장관에 김은경 지속가능센터 지우 대표를, 여성가족부 장관에 정현백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후보자로 내정하면서 현재까지 19개 중앙부처 중 4개 부처의 수장이 모두 여성으로 내정됐다.

여성 내각은 21.1%로 남은 부처 3곳(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중소벤처기업부) 중 2곳만 더 여성 장관이 지명되면 31.6%로 내각 30%를 여성으로 채우겠다는 문 대통령의 공략은 실현 가능해진다.


전 정권과 비교해보면 숫자의 차이는 더욱 확연해진다. 박근혜정부 초기 내각의 경우 18개 부처 중 여성 장관은 조윤선 전 여성가족부 장관과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 두 명으로 여성 비율은 11.1%에 불과했다. 이전 정부 역시 여성 장관의 비중은 10% 미만이었다.


내각의 30%를 여성으로 채운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전문가는 강조했다.


조혜련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 주요 결정권자로 여성이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의미를 갖는다"며 "고위직에서 활동하는 여성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여성 청소년들에게 내가 노력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상당한 가치를 지닌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