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경화 "'北도발 중단 대화 가능' 文 발언, 北비핵화 의지 보이라는 뜻"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한미정상회담 급선무…가능하면 방미"

강경화 "'北도발 중단 대화 가능' 文 발언, 北비핵화 의지 보이라는 뜻" 강경화 외교부 장관
AD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6·15남북공동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 밝힌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면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발언과 관련해 "전체 맥락을 볼 때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드러내야 가능하다는 뜻으로 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북한과의 대화 수위를 낮춘 것 아니냐는 견해가 나왔지만 강 장관은 기존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강 장관은 이날 외교부 기자실에서 "북핵 해결을 위해 제재와 압박, 대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게 대통령의 입장"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강 장관은 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사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미동맹이 깨진다는 인식이 있는데, 그렇다면 그게 무슨 동맹이냐" 등의 발언으로 한미정상회담이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특보가 사견임을 전제로 밝혔고 이에 대해 청와대에서도 브리핑이 있던 것으로 안다"면서 더 이상의 언급을 자제했다.

강 장관은 "지금은 한미정상회담 준비가 급선무"라면서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통화시간을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방미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또 '북핵동결하면 한미군사훈련을 축소할 수 있다'는 문 특보의 발언에 대해서도 "청와대가 밝힌 대로 정부와 조율하는 것은 아닌 걸로 안다"고 선을 그었다.


강 장관은 북한 인권결의안에 대해 "인권을 전문하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에 대한 기대를 잘 알고 있다"면서 "기본적으로 찬성하는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위안부 재협상 문제가 얽혀 있는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하나의 이슈에 양국 관계를 규정짓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위안부도 큰 현안이지만 양국관계는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만큼 계속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주문한 외교부 개혁에 대해서는 "조직은 항상 움직이고 앞으로 나아가는 게 생산성을 높이는 길"이라면서 "그런 점을 감안해 직원과 간부 모두 함께 나아가는 쪽으로 쇄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논란이 됐던 장녀의 미국국적 포기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라면서 "오늘 중 출입국관리사무소를 찾아가 국내 절차를 시작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