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지난 1월 11일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가 공식 취임을 앞두고 처음으로 공식 기자회견을 가졌다. 미국은 물론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던 기자회견에서 당시 트럼프 당선자는 일자리 창출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내가) 가장 위대한 일자리 창출자로 기록될 것"이라고 자부하면서 일자리 창출에 정권의 성패를 걸겠다고 다짐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미국인을 더 고용하라'며 으름장을 놓곤 했다.
하지만 지난 주 알려진 냉방기 전문제조 업체 캐리어의 인디애나폴리스 공장 감원 추진 계획은 '일자리 대통령'을 내세워온 트럼프의 체면을 제대로 구겨놓았다. 캐리어는 주 정부에 보낸 서한을 통해 인디애나폴리스 공장의 근로자 1400여명 가운데 632명을 올해 말까지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디애나폴리스 캐리어 공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자리 사수의 첫 번째 성공 케이스로 자랑하며 공을 들여온 곳이다. 지난 해 초 대선경선 기간에 당시 트럼프 후보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연설하며 "내가 대통령이 되면 멕시코와의 멍청한 무역협정을 파기할 것이다. 그래야 캐리어는 이곳을 떠나지 않고 일자리도 그대로 남는다"고 장담한 바 있다.
그는 대선 직후인 지난 해 12월에도 캐리어 공장을 직접 찾아가 "회사는 이곳에 남기로 했다. 앞으로 1100개의 일자리를 그대로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자랑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주정부측은 700만달러의 세제 혜택을 주는 파격적인 혜택도 함께 제안하며 캐리어의 감원을 막으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불과 몇 달 만에 캐리어는 감원 계획을 다시 추진하는 결정을 내리고 말았다. 캐리어가 내건 이유는 간명했다. 회사는 "생산공정 자동화로 감원이 불가피해졌다"면서 이같은 결정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이 직면한 도전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캐리어는 앞으로도 일부 생산 라인을 임금이 저렴한 멕시코로 옮겨갈 예정이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계속된 엄포도, 임기응변식 정부 지원 정책도 경영 위기에 직면한 캐리어의 감원 결정을 막아내지 못한 셈이다.
이처럼 의욕만 앞세운 '트럼프식' 일자리 창출 정책의 허점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일찌감치 간파했던 것 같다. 그는 퇴임에 앞서 지난 1월 10일 자신의 정치적 고향인 시카고에서 가진 고별 연설을 통해 "우리 경제에 충격을 주는 다음 물결은 해외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많은 중산층의 일자리를 쓸모 없게 만드는 자동화의 끊임없는 흐름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후임자인 트럼프를 겨냥해 일자리 정책의 해결 실마리는 성급한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산업 구조의 변화에 대한 냉정한 점검과 대비에서 찾아야 한다는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새로 출범한 문재인 대통령 정부도 1호 공약으로 일자리 창출을 내걸었다. 대선 당시 약속대로 청와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도 설치하며 일자리 창출 드라이브에 나선 모습이다.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은 없다. 하지만 이번 캐리어 사례도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 경제 상황에 대한 냉철한 판단과 점검 없이 정부의 의지와 정책만 앞서가지 않는 지 항상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