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준혁 넷마블 의장 단숨에 주식부자 6위…3조3500억원 규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방준혁 넷마블 의장 단숨에 주식부자 6위…3조3500억원 규모
AD


3조3581억원 규모, 이재현 CJ그룹 회장 역전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이 이재현 CJ그룹 회장을 밀어내고 국내 주식부호 6위에 올랐다. 한 때 같은 계열사 내 사장이 그룹 총수를 기업공개(IPO) 한방으로 역전한 셈이다.


15일 한국거래소와 재벌닷컴 등에 따르면 방준혁 의장의 넷마블게임즈 보유주식은 약 2073만주(24.47%)로 지난 12일 종가 기준 3조3581억원 규모다. 넷마블 상장 전까지만 하더라도 이재현 회장이 국내 주식부자 6위(2조6429억원)였으나 이번에 방 의장에 밀렸다. 방 의장 바로 앞 5위는 2015년 8월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고 지난해 경영에 복귀한 최태원 SK그룹 회장(4조1277억원)이다.

게임업계 대표 '흙수저'라 불리는 방 의장과 이 회장의 인연은 남다르다. 고등학교 중퇴 후 중소기업을 전전하던 방 의장은 사업에 뜻을 품고 2000년 지인들과 자본금 1억원으로 넷마블을 설립했다. 테트리스 등 캐주얼과 웹보드게임으로 흥행한 덕에 1년만에 1000만명의 회원을 확보하기도 했다.


넷마블이 크게 흥행하던 2004년 당시 이 회장은 CJ엔터테인먼트(현 CJ E&M)를 중심으로 엔터사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러다 당시 방 의장의 성공신화에 주목했고 넷마블을 보유한 모회사 플레너스를 방 의장으로부터 인수, CJ 계열사로 편입시키는 데 약 800억원을 투자했다. 기존 CJ엔터의 영화ㆍ공연 사업과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유무선 온라인게임 사업을 합쳐 온ㆍ오프 종합 엔터기업으로 발돋움 하겠다는 복안이었다.


플레너스가 CJ계열사로 들어오면서 사명은 CJ인터넷으로 바뀌었다. 당시 이 회장은 방 의장의 경영권을 3년간 보장해주는 차원에서 사업전략담당 사장직을 맡겼다. 하지만 2006년 건강 악화로 방 의장이 자리에 물러났고 이후 넷마블은 신작 게임 실패와 주요 게임 배급 중단 등의 잇단 악재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게된다. 2011년 3월 CJ인터넷은 결국 사업이 대폭 축소되며 CJ E&M 게임사업부문으로 편입됐다.


이후 방 의장은 이 회장의 간곡한 요청으로 2011년 6월 총괄상임고문으로 넷마블에 다시 복귀했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 등 미래는 모바일게임에 있다고 생각하고 이에 맞게 사업 구조도 재편했다. 이 회장의 지원으로 CJ게임즈를 설립한 이후엔 '다함께차차차'와 '모두의마블' 등 성공작을 내놓으며 부활의 신호탄을 쐈다.


그러다 2014년 3월 CJ게임즈는 시장이 떠들썩할만한 깜짝 발표를 한다. 중국 최대 게임사인 텐센트로부터 5억달러(한화 약 5300억원)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이다. 이 투자로 CJ E&M은 CJ게임즈의 1대주주에서 2대주주로 내려왔으며 CJ게임즈는 CJ그룹에서 분리됐다. 게임산업에 대한 경영실패와 이 회장의 구속에 따른 추진력 둔화 등 악재로 CJ E&M은 결국 게임사업부로 존재하고 있던 넷마블을 물적분할해 CJ게임즈에 넘겼고 방 의장은 CJ게임즈와 넷마블을 합쳐 현재의 넷마블게임즈를 설립했다.


우여곡절 끝에 넷마블은 지난 12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해 엔씨소프트를 제치고 단숨에 게임 대장주 자리에 올랐다. 시가총액은 약 14조원 규모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