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건국대와 경성대, 단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숭실대, 전남대, 제주대, 중앙대, 한동대 등이 올해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K-MOOC)'를 선보인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2017년 K-MOOC(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 사업'에 참여할 이들 10개 대학을 선정, 11일 발표했다
K-MOOC는 대학의 우수한 강좌를 인터넷을 통해 일반 국민에게 공개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5년 10월 첫 서비스를 개통한 이후 현재까지 약 295만명이 사이트를 방문하고, 약 26만명이 수강신청을 할 정도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는 K-MOOC 서비스의 안정화 및 활성화를 위해 올해 160개 이상의 강좌를 새로 개발해 기존 강좌 143개와 합친 총 300개 이상의 강좌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신규 개발 강좌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공학 및 자연분야, 지역특화 및 기초교양강좌, 학문간 융합강좌, 한국어 강좌 등 국?내외 학습자의 수요가 높은 분야에서 중점 개발될 계획이다.
올해 무크선도대학은 27개 대학이 신청해 이 중 10개교가 최종 선정됐으며, 선정된 대학은 4차 산업혁명 대비 학문간 융합, 지역 특성을 고려한 특화 과정 등을 자체 계획에 따라 2개 강좌씩 개발할 예정이다.
기존 2015~16년에 선정된 무크선도대학 20곳에서도 각각 3개 강좌 이상씩 총 60개 강좌를 추가한다. 또 4차 산업혁명 관련, 지역특화 분야 및 기초교양, 한국학 등 학습자의 수요가 많은 분야에 대한 강좌 공모를 통해 총 18개 강좌가 선정돼 일정에 따라 선보인다.
이들 무크선도대학과 분야지정 강좌는 3년간 개발비(강좌당 5000만원)와 운영비(강좌당 약 1200만원)를 총액으로 지원받게 된다.
교육부의 이외에도 대학재정지원사업 지원을 받는 대학 중 K-MOOC 강좌 개발을 희망하는 대학에 대해 추후 별도 심사를 거쳐 강좌를 추가로 개발·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K-MOOC 강좌를 통해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학습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와 요구에 적극 부응하고 미래경쟁력을 갖춘 인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좌의 다양성 확보 및 질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