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조선 운명은]"법정관리냐 정상운영이냐" 2주내 갈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대우조선, 17~18일 사채권자 집회
채권단·대우조선, 국민연금 찾아가 설득
채무조정 성공 → 3조 규모 자금 수혈 →정상 운영
실패시 P플랜 돌입 불가피


[대우조선 운명은]"법정관리냐 정상운영이냐" 2주내 갈린다
AD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법정관리에 가까운 구조조정이냐, 자금수혈을 통한 정상운영이냐".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이 2주 안에 결론난다. 대우조선해양은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별동대'를 조직해 개인 채권자를 설득하는 한편 회사채 규모가 큰 국민연금을 만나 논의에 나섰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서울 중구 남대문로에 위치한 대우조선해양 서울사무소 17층 대강당에서 다음달 17일과 18일 이틀에 걸쳐 사채권자 집회를 연다. 정부와 채권단은 지난달 23일 추가지원안을 발표하며 '채무조정 후 추가 유동성지원'이라는 전제를 단 바 있다.

이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1조3천500억원 규모 회사채와 2000억원 규모 기업어음(CP)을 출자전환하거나 만기 연장해야 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이틀에 걸쳐 총 5번의 사채권자 집회를 열어 채무재조정을 성사시킨 뒤 신규 자금을 투입받겠다는 계획이다. 회사채 규모의 70%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고, 나머지 30%는 개별 투자자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은 사채권자 집회를 성사시키기 위해 개인 및 기관투자자들을 만나며 설득하고 있다. 콜센터를 개설해 문의를 받는 한편 일일이 개인 투자자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상황을 설명하고 개별 동의를 받는 등 마음 돌리기에 나섰다. 4월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의 절반 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과도 만나 설득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달 초에는 국민연금을 비롯해 사채권자들의 여론이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은 외부위원들이 참석하는 투자관리위원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후 기금본부 투자위원회를 열어 최종 입장을 정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17일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가 가결되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채권자 집회는 채권자(채권액 기준) 전체의 1/3 이상이 출석하고 출석자의 2/3 이상이 동의해야 한다. 만약 이달 17일 사채권자 집회에서 채무재조정이 부결되면 다음달에 한 번 더 가결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이마저도 부결된다면 채권단도 신규 자금 지원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지원을 이어갈 경우 채권단의 자금이 회사채 원리금 상환으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은 당장 사용할 운영비도 부족한 상황이어서 자금 부족을 또 똑같이 겪게 된다. 결국 자율협약과 법정관리를 결합한 P플랜 돌입이 불가피하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회사의 경영정상화가 차질없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회사채 및 기업어음에 대한 출자전환 및 만기 연장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며 "투자자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