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IEP "중남미 민관협력사업 진출전략 적극 모색…ODA 지원 확대"

시계아이콘01분 0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침체된 중동시장을 보완할 차세대 인프라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중남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민관협력사업(PPP)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부도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활용, 측면지원에 나설 것을 강조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일 'PPP를 활용한 중남미 인프라·플랜트시장 진출 확대방안' 연구보고서에서 기업과 정부 모두 중남미 PPP 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PPP는 개도국 정부나 공기업이 대규모 인프라 공사를 진행할 때 해외 자본을 끌어들여 진행하는 것을 뜻한다. 중남미 대부분 국가들이 신성장동력 모색과 인프라 서비스 개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인프라 개발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며, 자금 조달 문제 때문에 이들 중 상당수가 PPP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과거 재정사업 중심에서 최근 PPP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중남미 인프라 시장에 적절히 대처해야만 진출 기반을 굳건히 지킬 수 있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보고서는 일단 기업들이 PPP 위주의 중남미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한 후 진출전략을 짜는 게 급선무라고 충고했다. 단, 도미니카공화국이나 에콰도르, 니카라과, 아르헨티나 등 PPP 환경이 취약한 국가의 경우 PPP형 사업보다는 정부 재정사업이나 설계·구매·시공(EPC) 사업 진출이 안전하다고 덧붙였다.


PPP 사업으로 현지에 진출 시 중남미 현지기업이나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보고서는 에너지 플랜트, 산업공정 등의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높은 기술력과 빠른 시공능력을 무기로 중남미 현지기업이나 스페인·중국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주개발은행(IDB), 중남미개발은행(CAF),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 등 다양한 중남미 지역개발은행들도 현지 정보창구와 컨설팅파트너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만큼 적극 활용하라고 추천했다.


정부차원에서는 ODA와 연계한 PPP 사업 지원을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사업 준비·발굴 단계에서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코이카(KOICA) 및 국토부 마스터플랜 사업을 통해 지원하는 한편 민간제안사업 추진 시 사전타당성 검토에 필요한 선투자도 ODA 자금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정부와 민간의 체계적 협력채널인 '프로젝트 수주 협의회(가칭)'을 마련, 인근 국가로의 확장 가능성이 큰 PPP 사업을 발굴해 운영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국내기업끼리 전략적 제휴를 통해 현지에 동반진출할 경우 금융·ODA등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아직 정례적 협력 채널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중남미 지역개발은행과의 제도적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남미 PPP 유관기관과의 인력교류 역시 확대하라고 제안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