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대선, 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광범위한 연대 모색
"당 후보도 결정 안 됐는데…" 해명,
"표 결집 위해 연대 나설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 강해
모델은 1980年代 주류 정치권에서 배제된 YS·DJ의 '민추협',
영·호남 아우르는 전국 정당·결사체, 중도세력 통합 목소리
양당 연대 무산되면 각기 민주당, 한국당과 통합 수순 밟을 듯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김영삼ㆍ김대중 전 대통령이 설립한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를 모델로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원내 제3, 4당으로 대선 정국의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의당(39석)과 바른정당(33석)이 다음 달 10~14일을 마지노선으로 연대를 위한 활발한 물밑 접촉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이후 합당까지 염두에 둔 이 같은 움직임은 비문(非文·비문재인)연대를 전제로 한 제3지대의 대선 후보 단일화 논의와 맞물려 향후 대선 정국에서 파괴력을 지닐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양당 대선 경선주자로 나선 국민의당의 안철수 의원과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바른정당의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측에선 연대에 관한 다자 간 논의가 싹트고 있다. 캠프 인사들 사이에서 알음알음 이뤄지는 이 같은 논의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표면적으론 "당 후보도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 논의하기 이르다"는 입장이지만, 물밑에선 "경선이 끝나면 표의 결집을 위해 연대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연대 논의가 벌써부터 고개를 든 건 급박한 대선 일정 탓이다. 다음 달 16일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만큼 미리 단일화나 연대의 물꼬를 터놔야 한다는 강박감이 작용했다. 바른정당은 이달 28일, 국민의당은 다음 달 4일 당 후보가 확정된다.
연대의 고리는 한국 현대 정치사를 관통해온 상도동계와 동교동계라는 분석이 나온다. 바른정당은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YS)의 상도동계가, 국민의당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동교동계가 상징적 축을 이룬 가운데 정국 안정을 위해 양측이 손을 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 교수는 "바른정당은 사실상 YS계가 옛 새누리당에서 분당해 나온 세력"이라고 해석했다. 국민의당도 친문(친문재인) 일색인 더불어민주당에서 갈라져 나온, 호남에 기반을 둔 정치인들이 한 축을 이룬다.
동교동계 소식에 정통한 민주당의 한 의원은 "양당이 손잡거나 합당한다면 영ㆍ호남 화합을 기치로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면서 "1980년대 제도권 정치에서 배제됐던 YS와 DJ가 설립한 민추협이 벤치마킹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이미 극단적 대립을 막기 위한 중도 통합정당 출범의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다.
연대의 가장 큰 고리는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과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다. 김 의원은 YS의 '정치적 아들'로, 또 박 대표는 DJ의 '영원한 비서실장'으로 불린다. 18대 국회에서 여야 원내 사령탑을 맡았던 이들은 9살 아래인 김 의원이 박 대표를 '형님'으로 부를 만큼 막역한 사이다. 바른정당의 한 재선의원은 "두 사람이 이미 여러 차례 접촉했고 다양한 얘기가 오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원내 세력구도는 이들의 연대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개헌이 대선 정국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열쇠를 쥐고 있다. 자유한국당(93석)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의 의석을 합하면 165석이어서 발의 정족수(150석)를 무난히 넘어선다.
또 내년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살아남기 위해 양당은 어떻게든 정계개편에 참여해야 한다. 이들의 연대나 합당이 무산될 경우, 향후 국민의당은 민주당과, 바른정당은 한국당과의 연대나 통합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영·호남 민심은 장애물이다. 호남의 여론이 바른정당을 여지껏 박근혜 정권의 '부역자'로 인식하고 있는데다, 영남에서도 바른정당은 이렇다할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양당 관계자는 "지역 민심은 대선 정국에서 언제든지 요동칠 수 있다"면서 "반문재인 기류가 고착되면 선거가 연대를 통해 막판 일 대 일 구도로 압축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