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태는 中 선동, 美 방관, 韓 무기력의 합작품"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ㆍ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이 중국 현지의 반발을 사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사태가 오히려 전화위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수년간 대규모 적자를 지속해왔기때문에 영향력이 제한적이고, 오히려 일부 매장이 철수하면 실적이 개선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6일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롯데쇼핑의 중국사업은 적자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내실을 다지는 상황하에서 사드영향으로 인한 매출 감소로 적자가 확대될 수는 있어도 그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이 같이 전망했다.
롯데쇼핑의 경우 중국 내 약 120개 유통 계열사 점포(백화점 5개, 마트 99개, 슈퍼 16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롯데쇼핑의 해외사업에서 롯데백화점은 830억원, 롯데마트가 1240억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각각 기록했는데 이 적자 가운데 80~90%가 중국 사업에서 발생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중국 소방당국이 중국 롯데마트 매장 네 곳에 대하여 소방안전법 위반으로 약 1개월간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으며, 추가로 영업정지를 당하는 매장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면서 "그러나 중국에서의 보복 조치 강화로 롯데마트가 중국에서 철수하게 된다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는 중국의 선동, 미국의 방관, 한국정치의 무기력이 만든 합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사드가 중국의 전략 이익, 중국이 누리는 역내 전략 균형을 훼손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반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사드 레이더가 중국 북동부의 핵 미사일 지대를 감시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그동안 매우 치졸하고 야비스럽게 졸국들만 할 수 있는 중국 보복 사례들을 사전에 고려했다면 사드 보복 조치들을 어느정도 예견할 수 있는 측면이 분명히 있었다"면서 "정부의 대응력이 필요한 데 그런 것이 없는 것이 개탄스럽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드부지를 제공한 것은 롯데그룹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인데도 불구하고, 통제 가능한 중국언론을 이용해 안하무인격으로 불매운동 등 중국 국민들을 선동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 면세점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업종에 대하여 보복조치들이 행해지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의 의존도를 줄여 다변화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