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이면 조심해야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봄이 오고 있습니다. 햇살이 따뜻합니다. 옷이 가벼워집니다. 산을 오르기에 참 좋은 날입니다. 봄철 산행을 할 때 50세 이상 중년과 노인들은 골절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50세 이상이면 눈에 보이지는 않는데 뼈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가 많기 때문입니다. 자칫 잘못했다가는 큰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환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간은 태어나서 세포가 성장하고 20~30대에 최고치에 이릅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세포는 더 이상 성장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합니다. 50세 전후가 되면 조금씩 힘을 잃어갑니다. 이때 가장 먼저 변화가 생기는 곳은 뼈입니다. 탄탄하고 가득 차 있고 건강했던 뼈의 밀도가 줄어듭니다. 뼈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구조물입니다. 시멘트나 벽돌, 목조 등 집의 구조물처럼 우리 몸의 공간을 버티게 해주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작은 물리적 손상에도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골다공증이라는 병 자체에 대해서는 대부분 많이 알고 있습니다. 그 위험성과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골절 이후에야 그 심각성을 깨닫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내가 골다공증이라고?"=골다공증에 대해 대부분 알고는 있는데 대수롭지 않다고 인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골다공증의 위험성과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떨어져 뼈를 다친 이후에야 심각성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다공증은 골절이 있기 전까지 뚜렷한 증상이 없어 '침묵의 질환'이라고 부릅니다. 뼈는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걷고 먹고, 잠자고, 평상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아 심각성을 깨닫지 못합니다.
골다공증은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우선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병합니다. 뚱뚱한 체격보다 마른 체형에서,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심한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도 골다공증 위험성은 높습니다. 골 밀도는 보통 35세 전후까지 성장을 지속하다가 50세까지 골 흡수와 골 형성 작용으로 같은 강도를 유지합니다.
이후 뼈의 양이 감소하고 강도도 약해집니다. 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게 골다공증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골 흡수작용이 빨라져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이 나빠지기 때문입니다.
골다공증 인구 10만 명 당 진료 인원 통계(2013)를 보면 여성은 50대 이후 진료 인원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연령대에서 60대가 31.5%(1만3413명), 70대가 35.3%(1만5058명)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3년 골다공증 환자를 보면 전체 80만7137명중 남성은 5만6133명(7%)에 불과했는데 여성은 75만1004명으로 전체의 93%를 차지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약 13.4배나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기적 골밀도 검사 받아야"=뼈 건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골밀도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에도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다공증은 환자 10명 중 9명이 질환을 방치할 만큼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골다공증 진단을 받더라도 환자 10명 중 7명이 도중에 치료를 포기합니다. 골다공증 약 복용법이 까다롭고 치료 과정에서 직접적 효과를 느끼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은 "뼈가 소실되는 골다공증이 생겼다고 당장 뼈가 부러지는 것은 아닌데 치료를 통해 뼈가 약해지는 것을 막고 골절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폐경기 여성은 물론 65세 이상 여성과 70세 이상 남성은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로 뼈 상태 체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골다공증 질환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골절입니다. 실제 골다공증 환자의 골절 위험은 정상인의 3배, 골절로 인한 사망률은 정상인의 8배에 이릅니다. 골다공증으로 뼈가 부러지면 수술 치료에도 쉽게 뼈가 붙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골다공증이 심할수록 뼈가 붙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이 심한 노인은 먼저 척추 골절에 주의해야 합니다. 노년층은 길에서 미끄러지거나 침대에서 떨어지는 정도의 가벼운 외상 또는 가벼운 물건을 드는 등의 아주 사소한 자극만으로도 척추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 여성 약 5명 중 1명은 일생에 한 번은 척추골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경우 키가 줄어들고 허리가 앞으로 굽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골다공증이 심한 노인들은 고관절 골절도 흔히 발생합니다. 고관절 골절로 합병증이 발생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어 치명적입니다. 고관절 골절로 움직이지 못해 장기간 누워있다 보면 폐렴, 욕창 등은 물론 혈전으로 인한 심장마비, 뇌졸중까지 다양한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고관절 골절을 당한 65세 이상 노인 3명 중 1명은 1년 이내 사망한 통계도 있습니다.
◆"10, 20, 30으로"=골다공증의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들이 있는데 뼈를 강하게 만들어 놓는 것이 장년기 이후 골다공증 발생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 방법입니다. 골밀도가 정상보다 낮은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이 있다면 일상에서 '10, 20, 30법칙'으로 대처하면 도움이 됩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10분 체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몸이 덜 풀린 아침에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일어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기상 후 10분 이내의 체조를 통해 균형 감각과 근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에는 20분씩 햇볕을 쬐는 것이 뼈 건강에 좋습니다. 햇볕을 받아 피부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는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가시켜 뼈를 튼튼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D 합성은 우울증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걷기나 줄넘기 등 체중을 실어 뼈에 자극을 주는 운동을 저녁에 꾸준히 30분 이상 하면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영양 섭취도 필수적입니다. 칼슘은 뼈를 이루는 재료로 외부에서의 섭취가 중요합니다. 멸치, 우유, 뱅어포 등의 음식물을 통해 보충해야 합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