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누구에게나 창업 지원…5월에 '서울창업허브' 개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서울시 "유니콘기업 탄생 이끌겠다"

누구에게나 창업 지원…5월에 '서울창업허브' 개관 서울 내 업종별 창업생태계 지도 (사진=서울시 제공)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서울시는 '스타트업 허브도시 2단계 발전전략'을 통해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유니콘기업'을 탄생시키겠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우선 창업 생태계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창업허브'를 5월에 개관한다. 마포구 공덕동 산업인력공단 건물 2개 동을 리모델링해 사용한다. 단일 창업보육기관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그동안 중앙정부, 민간, 시 산하 창업기관 등 주관부처나 사업목적에 따라 흩어져 있던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관련 정보를 하나로 연계·종합한다. 시는 중소기업청과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운영하기 위해 뜻을 모으고 있다.

창업을 희망하는 시민 누구나 아이디어만 갖고도 창업허브를 방문하면 통합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창업 정보플랫폼인 창업종합정보포털도 새롭게 구축한다.


시는 창업 교육과 공간 제공에 중점을 둔 기존 지원 전략에서 탈피해 '예비창업기업~초기창업기업~창업 후 성장기업'에 이르는 성장단계별로 수요와 정책지원을 이어줄 계획도 갖고 있다.


목표는 올해 총 1000개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다. 유망 창업기업에는 기업 당 연간 1000만 원에서 최대 1억 원까지 집중 투자한다. 또한 유망 창업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3개월에서 최장 3년의 입주기간 동안 모든 영역의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비창업인 1만 명에게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지원한다.


기존 24개 창업지원센터는 업종별, 기능별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해 특성화한다.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내 창업센터는 민간연계 ICT 창업을, 서울먹거리창업센터는 농업과 기술융합을 집중 지원하는 식이다. 시는 24개 각 센터와 창업허브가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서동록 시 경제진흥본부장은 "하나의 유니콘기업이 탄생하기 위해서는 유수의 대학, 기술연구소와 R&D단지, 산업 클러스터, 민간 자본 지원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생태계를 가져야 한다"며 "서울창업허브와 서울 전역의 24개 센터를 통해 창업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