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롯데슈퍼, 베이징 매장 3곳 2월말 폐점…"실적 부진 때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사드 연관' '中 사업 전면 재검토' 등 부인


롯데슈퍼, 베이징 매장 3곳 2월말 폐점…"실적 부진 때문"
AD

롯데슈퍼, 베이징 매장 3곳 2월말 폐점…"실적 부진 때문"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 정부 사이에서 전전긍긍하고 있는 롯데가 중국 베이징 인근 롯데슈퍼 매장 일부를 폐쇄하기로 하면서 그 배경이 주목된다. 롯데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사드 보복에 따른 중국 사업 전면 재검토'설을 일축하고 경영상 구조조정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롯데 관계자는 6일 "베이징 인근 롯데슈퍼 매장 3곳을 이달 말께 폐쇄하기로 했다"며 "지난 2015년 롯데마트 산둥(山東)지역 5개 지점 문을 닫았을 때처럼 실적 부진이 이유"라고 밝혔다.


롯데 측은 사드 이슈가 불거지기 전부터 베이징 소재 롯데슈퍼 3곳과 롯데마트 1곳 등을 구조조정 대상에 올려놨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점포들은 영업 적자가 큰 데다 사업 부지 면적이 넓어 임차 조건도 좋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갑작스런 구조조정-사드 연관설에 롯데는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롯데 관계자는 "(사드 문제 등으로) 중국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사업 전면 재검토는 말도 안 된다"며 "현재 슈퍼, 마트 외에도 다양한 계열사가 중국 사업에 계속해서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현재 롯데는 슈퍼, 마트, 백화점, 제과 등 총 22개 계열사를 중국에 진출시켰다. 임직원도 2만6000명에 달한다. 또 3조원을 투자해 쇼핑몰과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롯데월드 선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와 별개로 롯데의 중국 사업 실적은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중국 실적 부진은 롯데가(家) 형제의 난에서도 주요 소재가 된 바 있다.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은 지난해 9월 신동빈 회장과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 롯데쇼핑 공시 책임자를 검찰에 고발했다. 고발장에서 신 전 부회장은 신 회장과 이 대표 등이 롯데가 인수한 타임즈, 럭키파이 등 중국 현지 기업의 영업권 '손상차손' 약 3700억 원을 누락한 거짓 연결재무제표를 2013년 5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작성, 공시해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상차손은 시장가치의 급격한 하락 등으로 자산의 미래 경제적 가치가 장부가격보다 현저하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재무제표상 '손실'로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