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황금알은 없다②]미운오리 전락하나…면세업계, 수익성 '빨간불'

시계아이콘01분 5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수백억 영업이익 내던 황금알 사업은 옛말
사업장 급증, 중국 정부 압박, 정책 리스크 확대 등
신규면세점 줄줄이 적자…정부는 특허수수료 인상 카드

[황금알은 없다②]미운오리 전락하나…면세업계, 수익성 '빨간불'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없었다. 오히려 수익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미운오리'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면세점 시장 얘기다.

면세 업계가 사업장 급증, 중국 정부의 압박, 정책 리스크 확대 등의 삼중고를 겪고 있다. 운영만 하면 조용히 수백억원대의 영업이익을 창출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렸던 과거와 달리 최근엔 대규모 적자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2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면세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3.5% 성장한 12조275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두타면세점, 한화갤러리아면세점, 신세계면세점, HDC신라면세점, SM면세점 등 신규면세점들은 각각 수백억원대의 적자를 내며 고전하고 있다.

올해도 대부분의 신규 면세점들은 적자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한 신규면세점 관계자는 "올해 역시 적자가 예상된다"면서 "흑자전환은 내년 말 정도를 예상했는데, 지금 상황으로봐서는 그 마저도 어려울 것 같다"고 우려했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내면세점을 오픈해 44년 간 운영한 동화면세점이 영업환경 악화와 재정적 어려움으로 좌초 위기에 놓인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다. 이 회사는 호텔신라가 작년 6월 동화면세점 지분 19.9%(35만8200주)에 대한 풋옵션을 행사하면서 지난해 12월19일까지 상환했어야 할 700억원대 원금ㆍ이자를 마련하지 못해 당시 담보로 제공했던 동화면세점 주식 30.2%(57만6000주)을 추가로 내놓은 상태다. 해당 지분은 현재 최대주주(41.66%)인 김기병 회장이 보유한 지분의 일부이며, 동화면세점과 호텔신라 측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협상을 진행중이다.


앞서 호텔신라는 2013년 5월 동화면세점 지분 19.9%를 취득한 바 있으며, 작년 6월 풋옵션을 행사했다. 그러나 동화 측은 처분금액 715억원(원금 600억원ㆍ이자 115억원)을 만기일까지 상환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10%의 가산율이 적용돼 동화면세점은 총 788억원의 처분금액을 1차 연장일인 2월23일까지 호텔신라에 갚아야 했지만, 최근 실적악화 등의 이유로 여력이 없던 동화면세점은 결국 담보 지분을 내놓게 됐다.

[황금알은 없다②]미운오리 전락하나…면세업계, 수익성 '빨간불'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내 화장품 매장이 텅 비어있다.


자본 규모 등을 기준으로 중소ㆍ중견 사업자로 분류됐던 동화면세점은 루이뷔통을 비롯한 샤넬, 에르메스 등 '3대 명품'을 모두 유치해 이제껏 나름의 입지를 구축해왔다. 2015년 기준 매출 규모는 3226억원으로 같은 해 대기업 계열로 운영되던 워커힐면세점(SK네트웍스, 2874억원)보다 많았다. 96억원 가량의 순이익도 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명동(신세계), 종로(하나투어), 동대문(두산) 등 인근 지역에 경쟁 신규 면세점이 문을 열고 올해 들어서는 매장에서 루이뷔통이 철수하면서 영업난을 겪어왔다. 최근에는 구찌, 몽블랑 등 럭셔리 브랜드와 루이까또즈, 제이에스티나 등 외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국내 잡화 브랜드들이 추가로 이탈했다. 작년에는 3549억원의 사상 최대 매출(잠정)을 올리기도 했지만, 잇딴 대내외 악재로 적자전환을 피하지 못했다.


특허수수료 인상도 업계에 불어닥친 대형 악재다. 특히 영업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중소형 면세점이나 신규면세점 입장에서는 흑자전환 시기를 더욱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심사위원회를 열고 관세법 제68조의2제1항에 따라 매출액의 0.05%를 부과하던 현행 보세판매장(면세점) 특허수수료율을 0.1~1%로 최대 20배까지 높이는 관세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안은 법제처의 조문심사를 거쳐 이르면 이달 초 공포될 예정이다.


이번 개정안 시행으로 특허 수수료는 매출 규모에 따라 차등 부과된다. 연매출 2000억원 이하 면세점에는 0.1%, 2000억∼1조원 사이는 0.5%, 1조원 초과는 1%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현행 특허수수료는 매출액 기준 동일하게 0.05%를 부과하고 있다. 제도 개선으로 정부가 거둬들이는 수수료 수입은 지난해 43억원에서 내년엔 394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 금액의 절반을 관광진흥개발기금으로 출연한다.


업계에서는 국내 면세점들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한국면세점협회을 필두로 필요하다면 행정소송까지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매출은 있지만 업계 절반 이상이 이익은 마이너스 상태"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관광진흥개발기금 차원에서 수수료를 더 올려받겠다는 정책 방향이 과연 옳은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