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른정당, 조만간 경선룰 마련…유승민·남경필 VS 潘 '2차 경선'?(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바른정당, 다음 주 경선룰 논의 착수
유승민·남경필 축으로 경선 일정 마련
외곽에 머무는 潘은 독자노선 가능성 커,
"기다릴 수 없다" VS "기다려야 한다"
국민경선제로 독자후보 선출 뒤,
제3지대에서 潘과 '2차 경선' 가능성도
潘, 바른정당보다 국민의당 선호說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바른정당이 설 연휴 직후 독자적인 대선 경선룰 마련에 착수하면서 외곽에 머물고 있는 범여권 유력 후보인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과의 관계 설정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당 내에선 반 전 총장의 경선 참여 때까지 일정을 잠시 미뤄야 한다는 주장과 '벚꽃대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금이라도 당내 경선을 곧바로 시작한 뒤 추후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바른정당, 조만간 경선룰 마련…유승민·남경필 VS 潘 '2차 경선'?(종합) 남경필 경기도지사(왼쪽)와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오른쪽)
AD


30일 바른정당 관계자에 따르면 바른정당은 이번 주중 대선후보 경선룰을 확정하기 위한 임시회의를 소집한다. 중앙당 창당 이후 이렇다할 지지율 반등이 일어나지 않은 가운데, 이른 시일 내에 대선후보들의 전국 순회 경선을 통해 흥행몰이에 들어가겠다는 복안이다.

바른정당에선 현재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대선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이들을 축으로 당 안팎의 후보들을 영입해 판을 키우겠다는 것이 바른정당의 계획이다.


가장 큰 변수는 반 전 총장이다. 반 전 총장은 특정 정당에 곧바로 입당하기보다 외곽에서 충분히 세력을 키운 뒤 본격적인 경쟁체제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한 종편이 반 전 총장 측의 대선 로드맵이라고 주장하며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반 전 총장은 기성 정당 입당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타진하고 있다. 다만 이 보고서는 보수 정당인 바른정당보다는 야권인 국민의당 입당이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 'DJP연합'같은 지역 연대를 추진해 좀 더 유리한 구도에서 대권에 도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정한 세력 없이 국민의당에 곧바로 입당하면 경선 승리를 장담할 수 없고, 향후 보수세력 포용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 전 총장 측은 이 보고서가 캠프 사무실에서 작성된 문건이 아니라며 반박하고 나섰지만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반 전 총장의 영입을 적극적으로 타진해왔던 바른정당도 일단 한 발짝 물러선 상황이다.


바른정당, 조만간 경선룰 마련…유승민·남경필 VS 潘 '2차 경선'?(종합)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이미 당내에선 굳이 반 전 총장에 기대지 않더라도 유 의원과 남 지사만으로도 충분히 본선 경쟁력을 갖췄다는 주장이 팽배해있다. 독자노선을 걸을 가능성이 큰 반 전 총장을 언제까지 기다릴 수 없는데다, 그를 위해 별개의 경선일정을 제공할 수 없다는 반발심리도 만만찮다.


일단 바른정당은 어떤 계파도 초월하는 완전 국민경선제를 추구하고 있다. 선거인단을 구성하지 않고 '휴대전화 안심번호' 등을 활용한 국민여론조사 등을 이번 경선에 도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인터넷 방송 등을 활용한 경선도 주장하고 있다.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이 핵심이다.


바른정당의 한 핵심 당직자는 "반 전 총장에 대한 적극적인 러브콜은 사실상 지난 주까지였다고 봐야한다"면서 "지금부터는 유 의원과 남 지사를 중심으로 경선 구도를 짜야한다"고 설명했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