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고도·연도에 따른 개미 종의 멸종 위험도 그래프. 산림청 제공";$txt="고도·연도에 따른 개미 종의 멸종 위험도 그래프. 산림청 제공";$size="550,381,0";$no="2016112917115801239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민감한 생물종이 고산지역으로 보금자리를 옮겨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결과에는 이들 생물종은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멸종돼 향후 생물종의 다양성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담겼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개미의 종별 분포변화가 기존에 ‘온대형 패턴’에서 ‘열대형 패턴’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감지된다고 29일 밝혔다.
온대형은 낮은 고도에서 종자 수가 많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줄어드는 패턴, 열대형은 온대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중간 고도에서 종자 수가 늘어나는 패턴으로 각각 구분된다.
이러한 패턴을 감안해 지난 2007년부터 3년간 전국 365개소 산림의 개미 서식지 분포를 조사한 결과 분포변화가 감지됐다는 게 국립산림과학원의 설명이다.
또 연구결과 기후변화로 고산지대 생물종의 다양성이 줄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가령 개미 종은 기존 해발 264m에서 다양하게 분포했지만 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시화되면서부터는 해마다 4.9m가량 높은 곳으로 이동, 오는 2080년경에는 해발 656m 부근까지 올라(종의 다양성 정점)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맞물려 지구온난화가 고산지대·저기온에서 생활하는 개미와 이들 개미와 연관된 종의 멸종을 부추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일례로 고도 1000m 이상에서 서식하는 코토쿠뿔개미와 쿠로키뿔개미 등 뿔개미류는 지구온난화로 점차 감소, 2090년대가 되면 대다수가 사라지고 뿔개미류를 통해 씨앗을 옮겨 자생하는 고산의 희귀 초본류와 큰 점박이 푸른부전나비, 고운점박이 푸른부전나비 등 고산 희귀나비의 서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게 국립산림과학원의 분석이다.
한편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고산지대 서식 종의 취약성을 직접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특히 개미 분포로 이를 증명한 것은 세계에서 최초로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학술저널 플러스원(PLOS ONE)에 게재되기도 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