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후판은 선주문-후생산 구조"
불황에는 설비 유지 보수로 호황기 대비해야
"설비 폐쇄, 저가 중국산 유입 유인될수도"
$pos="C";$title="<데스크>후판 사진";$txt="▲후판 모습 ";$size="400,402,0";$no="2012032017415199057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후판은 조선 등 수요산업이 더디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스스로 감축방안을 마련해 적정수준으로 조정하라"
30일 정부가 내놓은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은 이렇게 요약된다. 경쟁력을 확보한 강관업체를 중심으로 설비 통폐합을 유도하고 중장기적으로 철근·형강의 설비 조정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후판 보단 압박 강도가 약하다.
정부가 첫번째 철강 구조조정 대상으로 후판을 지목한 것은 수요산업인 조선업 부진 때문이다. 후판은 배를 만드는데 쓰이는 두꺼운 강판을 말한다. 정부는 올해 조선사들의 수주 절벽으로 당장 내년부터 후판 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진단했다.
이에 정부는 후판설비를 감축하거나 매각하고 후판사업을 분할하는 등 총 생산능력을 줄이도록 권유했다. 현재 생산능력은 1459만t이다. 또 2020년까지 수요산업과 해외경쟁기업 동향을 감안해 추가 조정을 유도할 뜻도 밝혔다.
$pos="C";$title="철강";$txt=" ";$size="326,291,0";$no="2016092816424521299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하지만 철강업계는 '선주문-후생산' 구조를 모르고 하는 강요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조선소들이 쓰는 후판과 같은 판재류는 주문 받은 만큼 생산되는 구조다. 재고를 쌓아놓고 파는 제품이 아니다. 이는 국내에서 후판을 생산·판매하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이 모두 같다.
철강업계는 조선업황이 좋지 않아 주문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생산량을 조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포스코는 1년에 700만t의 후판(일반강 기준)을 생산할 수 있지만, 지난해 만들어 낸 양은 580만t 정도였다. 현대제철 역시 생산능력은 320만t이지만 260만t을 찍어내는 데 그쳤다. 가동률로 따지면 각각 82.8%, 81.25% 정도다.
철강사들이 연간 생산능력에 못 미치는 후판을 만들어 내면서도 설비 감축이나 매각에 반발하는 것은 비용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후판 수주량 만큼 설비를 돌리면 되고, 생산량이 줄어 가동을 멈춘 설비는 호황기에 대비해 유지보수만 하면 된다"며 "공장하나를 짓는데 들인 천문학적인 비용을 고려하면 더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다른 철강업계 관계자 역시 "동국제강이 과거 일부 후판공장을 폐쇄한 것은 재무상 유지보수 비용까지 부담이 된 특수한 경우"라며 "왜 정부가 매각, 폐쇄를 권유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규모의 경제가 중요한 철강업계에서 설비를 섣불리 줄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줄어든 자리를 저가 중국산 후판이 치고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철강업계는 국내업계에 생산능력을 줄이라고 강요하기 보단 30~40%에 달하는 수입 후판 비중을 줄이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무조건 줄여야 한다고만 하지말고 수출길을 열어주거나 수요가 있는 건축용, 원유 수송관 등 특수용으로 후판을 전환토록 하는 등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