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 경제에는 또 하나의 달갑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9월 금리인상'이 현실화 되면 주요 신흥국의 자금유출로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는 동시에 한국은행은 정책 선택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 주말 잇따라 내놓은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은 12월이 유력하지만 9월로 앞당겨질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8월 중 유가 재반등 및 신흥국 불안심리 완화 등 긍정적 환경에도 불구, 시장 참가자들이 미국 금리인상 및 대선 등에 주목하면서 경계감이 확산되고 있어 시장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 경제도 미국의 금리인상에 직접 영향권에 들어있다. 당장 외국인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 금리인상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6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채권·주식시장에서 9개월 간 266억달러(29조8400억여원)의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갔다. 최근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자 지난 24~26일 코스피에서 외국인 순매도가 두드러지기도 했다.
중국 등 다른 신흥국에서 대규모 자금이 유출되면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타격을 주게 되고, 세계 경제 전반에 나쁜 영향을 미쳐 우리 기업들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줄 여지가 많다. 지난달까지 수출은 1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고 조선·해운 구조조정까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수출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도 있다.
우리 통화당국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25%로 전격 인하한 이후 올해 안에 추가로 0.25%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외국 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 때문에 통화당국이 시장은 좀더 지켜본 뒤 금리인하 여부와 시기를 정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더욱이 시중에 자금이 많이 풀리면서 부동산 과열을 부추기고 있고 가계부채를 더욱 늘려 한국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금리인하에 쉽게 나서기 어려운 실정이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과 함께 경기부양을 위한 투트랙으로 꼽히는 금리인하가 불발로 끝나면 내수 경기 침체는 더욱 길어질 수 있다.
다만, 외환보유액이 3700억달러 정도로 충분하고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크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의 국가신용등급이 최근 상향조정된 것 역시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 여건이 좋은 편이다. 또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면 환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해 수출에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정부는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스크린을 강화하면서 통화스와프 체결 등 대응에 나섰다. 지난 27일에는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만나 양자 간 통화 스와프 계약을 다시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통화스와프의 규모와 계약 기간 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인데, 우리 정부는 최소 100억달러 이상을 일본측에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